|
이번 개편결과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서울의 1인당 개인소득은 2819만원으로 모든 시·도 중 가장 높았다. 이후 울산(2708만원), 대전(2616만원) 등의 순이었으며 이들은 전국 평균(2497만원)을 웃돌았다. 조선업이 밀집한 울산은 지역별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높았지만, 2015년으로 기준년도가 개편됐던 당시 2017년 서울의 개인소득이 1위로 올라서며 자리를 내주게 된 이후 2위에 머무르게 됐다.
2022년 기준 시·도의 지역 총소득은 2356조원으로, 전년 대비 4.8%(108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규모가 큰 곳은 경기도(645조원)으로, 서울(601조원), 인천(118조원) 등 인구가 많은 수도권 지역의 지역 총소득이 높았다. 특히 서울(72조원)과 경기(58조원)은 인구 유입에 따라 소득 역시 순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전남(-0.7%)의 경우 건설업 및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의 위축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역성장을 보였다. 정선경 통계청 소득통계과장은 “전남 지역의 역성장에는 건설업이 큰 영향을 주었고, 전남 지역의 연구소가 타 지역으로 이전하면서 관련 업종에도 영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상운송업 쪽에서도 19.7% 감소하며 다른 지역보다도 감소세가 컸던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종소비지출의 경우 기초자료가 갱신되고, 추계단위가 세분화됨에 따라 민간과 정부 영역에서 모두 늘어 전년 대비 4.0% 늘어나게 됐다. 인천(7.0%), 제주(6.6%) 등은 전국 평균을 상회했지만, 대구(1.3%), 울산(2.4%) 등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한편 이번 기준연도 개편은 1993년 통계 발표 이후 7번째 개편이다. 통계청은 지역의 산업 및 기술 변화 반영이 이뤄져 통계의 현실 반영도가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전자 상거래, 1인 미디어와 프리랜서 등 사업체들이 반영되고, 최근 개정된 한국표준산업분류 등과 같은 기준이 적용돼 상호 비교도 용이해진다. 정 과장은 “경제활동분류 추계의 정확성이 높아지고, ‘에어비앤비’와 같은 공유숙박 등 거래도 처음으로 포착해 반영하게 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