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분기 물가 9년만에 최대폭 상승…정부 "품목별 맞춤형 대응"(종합)

한광범 기자I 2021.07.02 14:46:19

6월 소비자물가 2.4% 올라…상승폭 3개월 연속 2%대
달걀 55%·마늘 49%·휘발유 20%↑…전기료 2.1%↓
정부 "하반기 오름세 둔화 전망…2%내 관리 총력"

지난달 2일 서울 강남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점원이 달걀을 진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한광범 이명철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3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며 높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달걀 등 농축수산물 물가가 고공행진 중이고 국제유가 상승으로 휘발유·경유 등 석유류 가격도 크게 오르면서 지갑 부담을 키우고 있다. 2분기 물가는 9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정부는 하반기 물가 안정에 총력을 기울여 연간 물가상승률을 2% 이내로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4% 올랐다. 4월(2.3%)·5월(2.6%)에 이어 3개월 연속 2%대 상승이다. 2분기 소비자물가 상승폭은 2.5%로 2012년 1분기(3%) 이후 가장 높았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2% 올라 3개월 연속 1%대 상승세를 나타냈다. 계절적 요인을 나타내는 품목 등을 뺀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5% 올랐다.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품목으로 구성한 생활물가지수는 3.0%, 신선식품지수는 10.3% 각각 올랐다. 신선과실이 22.2%, 신선채소 5.6%, 신선어개(생선·해산물) 0.7% 각각 상승했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2.2% 올랐다.

◇농축수산물 6개월 연속 10%대 상승

지출목적별로는 교통(8.3%), 식료품·비주류음료(6.5%), 음식·숙박(2.2%), 기타 상품·서비스(1.8%), 가정용품·가사서비스(1.4%), 주택·수도·전기·연료(1.2%), 오락·문화(0.8%), 보건(0.7%), 주류·담배(0.5%), 의류·신발(0.2%) 등이 오르고 통신(-2.3%), 교육(-0.7%)은 내렸다.

품목성질별로는 상품은 3.4%, 서비스 1.6% 각각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10.4% 올라 올해 1월부터 6개월 연속 10%대 상승폭을 보였다. 농산물이 14.1%, 축산물 9.5% 각각 올랐다. 공업제품은 2.7% 올랐으며 이중 석유류는 19.9% 급등했다. 개인서비스 중 외식은 2.3%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르면서 식당 재료비도 뛰어 외식 물가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품목별로는 달걀(54.9%), 마늘(48.7%), 고춧가루(35.0%), 경유(22.4%), 휘발유(19.8%), 국제항공료(14.4%), 참외(14.1%), 보험서비스료(9.6%), 침대(7.6%), 공동주택관리비(6.9%), 국산쇠고기(7.1%), 돼지고기(6.2%), 빵(5.9%) 등이 상승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1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반면 배추(-19.8%), 양파(-15.2%), 병원검사료(-12.5%), 감자(-11.1%), 도시가스(-10.3%), 세탁기(-8.7%), 휴대전화기(-8.3%), 무(-7.1%), 지역난방비(-2.6%), 전기료(-2.1%) 등은 하락했다. 집세는 1.4% 올라 2017년 10~11월(1.4%) 이후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다. 전세(1.9%)는 2018년 3월(1.9%) 이후 최고치다. 월세는 0.8% 올랐다.

◇전문가 “유동성 조절 일정 부분 필요”

정부는 7월부터 물가 상승률이 다소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농축산물 가격 오름세가 둔화되고 국가유가도 오름세가 확대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2분기에 비해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물가상승률을 물가안정목표(2%) 이내인 1.8%로 전망한 정부는 인플레이션 기대 차단을 위하 선제 대응노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백신접종 확대로 소비심리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고 정부의 대규모 소비진작책까지 더해져 물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아울러 국가 원자재 가격 상승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이 같은 상방리스크를 고려해 품목별, 시기별 맞춤형 대응방안을 마련해 연간 물가 상승률을 2% 이내에서 관리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날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농축수산물 정부 비축물량 적기 방출, 계란 추가 수입 등을 추진하고 안정적 추석 물가 유지를 위해 성수품 관리방안도 미리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공요금의 경우 물가여건과 국제유가 등을 감안해 관리하고 하절기 피서지 물가안정대책 추진을 통해 바가지요금을 근절하는 등 서비스물가 안정에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정부의 물가관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인플레이션 위험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라며 “유동성 조절이 일정 부분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