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산림은 전국 특·광역시 및 도청소재지에 있는 산림을 말하며, 대기오염 등 다양한 위해 요인에 노출돼 있어 건강성 악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11~2015년 전국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산림 중 모두 1000개의 고정 조사표본점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가 항목은 △수관활력도 △수관급 △형질급 △종다양성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유효토심 등 7개다.
연구 결과, 우리 산림의 81.3%는 건강했으며, 건강성이 다소 떨어지는 산림은 17.2%, 쇠약한 산림은 1.5%로 나타났다.
평가항목별 결과를 보면 나무들의 건강 상태인 수관활력도의 경우 건강한 등급이 89.9%였으며, 쇠약 등급은 0.6%로 분석됐다.
종다양성 지수는 4.83, 최대 종다양성 지수는 6.88, 균재성 지수는 0.70 등으로 종합적인 종다양성 지수는 평균 이상, 토양 양분 상태는 적정범위를 기록했다.
권역별로 보면 강원과 충북과 전남이 매우 건강한 1등급 비율이 9∼10%로 가장 높았으며, 매우 쇠약을 의미하는 5등급이 1% 이하에 불과해 산림 건강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됐다.
경기와 충남, 전북은 5등급 비율이 5∼6%로 다른 권역보다 높아 앞으로 정밀 조사를 통한 쇠약 원인 분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도시산림의 경우 1등급 비율이 일반 산림의 38%로 낮은 반면 5등급 비율은 2배 높게 나타나는 등 이에 대한 원인 규명과 보전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조사 이전인 2007~2010년과 비교했을 때 도시산림 나무들의 수관활력도는 건강한 등급이 평균 2.2% 감소했고, 쇠약한 등급이 평균 9.0% 증가했다.
국립산림과학원 이경학 산림보전부 부장은 “건강한 산림일수록 미세먼지와 폭염저감 효과 등 산림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더 높게 발휘할 수 있다”면서 “정기적인 산림건강성 진단·평가를 통해 산림이 생태적으로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잘 관리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