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접경지역 말라리아 환자 주의보…정부, 제대군인 무료 검사 실시

김관용 기자I 2025.04.09 11:20:57

4월 파주·철원서 복무 제대군인 2명 말라리아 감염
작년 국내 말라리아 환자 중 제대군인 비율 10.2%
군 복무 후 의심증상시 보건소 및 군병원서 무료검사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국방부와 질병관리청은 남북 접경지역에서 복무하다 전역한 제대군인 중 말라리아 환자가 연이어 신고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정부는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전국 보건소(전역 후 2년) 또는 군병원(전역 후 1년)에서 무료검사를 지원한다.

질병관리청과 국방부는 2030년 국내 말라리아 퇴치를 목표로 ‘제2차 말라리아 재퇴치 실행계획(2024~2028)’을 공동수립하는 등 말리라아 없는 대한민국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1993년 휴전선 인근에서 말라리아가 재출현한 이후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지속되고 있다. 2023년 이후 60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했다. 이 중 현역 및 전역 후 2년 이내 제대군인은 약 20%를 차지했다.

최근에도 파주와 철원 등 접경지역 근무 후 전역한 제대군인 중 말라리아 환자가 연이어 신고됐다. 두 환자 모두 전역 이후 말라리아 증상이 나타났다.

군인은 접경지역 근무와 야간 야외훈련 등으로 말라리아 감염 위험이 특히 높다. 또 국내 말라리아는 원충에 감염된 매개모기(중국얼룩날개모기)에 의해 감염되는데, 모기에 물린 후 간에 장기 잠복(수 주~최대 2년) 이후 발병되는 특성이 있다. 이번 사례처럼 전역 이후 발병 가능해 제대군인의 관리는 접경지역 외 전 지역으로 말라리아가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데 중요하다.

질병관리청은 전역 후 발열이나 두통, 식욕부진 등 말라리아 의심증상이 나타난 제대군인에게 전역 후 2년 간 전국 보건소에서 무료로 신속진단키트검사(RDT)를 시행하고 있다. 국방부도 전국 14개 군병원에서 전역 후 1년 동안 말라리아 무료 진단 검사 및 치료제 처방을 하고 있다.

이외에도 질병관리청과 국방부는 공동으로 전역예정자 대상 말라리아 예방교육을 실시해 전역 후 말라리아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교육한다는 방침이다. 접경지역 군 장병을 대상으로 예방약을 처방하는 등 군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노력도 병행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접경지역 군 장병께서는 말라리아 모기가 활동하는 시기인 4~10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기피제를 반드시 뿌리고, 훈련 등 야외 취침 시 모기장을 사용해야 한다”면서 “전역 이후 발열, 오한 등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가까운 보건소 및 군 병원을 방문해 반드시 말라리아 검사를 받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