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8일부터 대통령 탄핵을 위한 단식농성에 참여하고 있는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사법부의 석방 결정을 재차 비판했다. 양 위원장은 “(검찰은) 윤석열 대통령의 석방을 위해 스스로 관행을 부정하며 부역하는 검찰 독재의 나라임을 다시 확인했다”며 “절대로 용납할 수 없기에 내일(11일) 민주노총의 전국 대표자들이 서울로 향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도부 2000~3000명이 1박 2일간 헌법재판소 앞 농성장에서 투쟁에 돌입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민주노총은 윤 대통령의 석방 이튿날(9일) ‘윤석열 파면 촉구 긴급 비상행동 주간’을 선포하고 오는 15일 종로구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참가자 약 1만 5000명이 참여하는 집회와 행진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민주노총 지도부는 11일 종로구 향린교회에서 비상행동 전국대표자 비상총회를 열고, 시국선언을 발표한 뒤 1박 2일 농성장으로 향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엄상진 금속노조 사무처장은 “금속노조는 12·3 내란을 저지하기 위해 일어선 조합원들의 투쟁 태세를 2025년에도 이어받아 조합원 총회 등 현장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며 “지난 정기 대의원회에서 (탄핵) 기각이 발생한다면 즉각 총파업에 돌입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고기석 공공운수노조 수석부위원장 역시 “지난 7일 법원이 내린 윤석열 구속 취소 결정은 ‘법꾸라지’를 다시 법 뒤에 숨겨주는 최악의 판결이다”며 “이런 구속 기소는 오히려 더 크고 거센 광장의 투쟁을 불러오는 도화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공운수노조 25만 조합원은 여기에 민주노총 조합원과 민중 대연대단체들과 뒷발을 높이 들고 기꺼이 싸울 것이다”고 했다.
지난 8일 윤석열 대통령은 체포돼 구금된 지 52일 만에 석방됐다. 전날(7일) 서울중앙지법이 윤 대통령 측이 제기한 구속 취소 청구를 인용하고, 약 27시간 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윤 대통령에 대한 석방 지휘서를 서울구치소에 송부했다”고 언론에 밝혔다.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뒤 탄핵 반대를 지지하는 시민단체도 헌법재판소에 탄핵 기각을 요구하며 릴레이 집회를 예고했다.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대국본)은 민주노총에 대항하는 맞불집회를 이날 오후 2시부터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진행한다. 아울러 이들은 이날부터 오는 14일까지 닷새간 오후 1시에 헌재 앞에서 탄핵무효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