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부터 통신사업자는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과 국가유공자의 통신 요금을 35~50%까지 감면하고 있다. 지난해 감면액은 2017년(4630억원)과 비교해 약 2.7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KTOA에 따르면 통신사업자들은 2021년부터 3년 연속 1조 원이 넘게 취약계층 요금감면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에너지(0.2조), 전기(0.7조)와 같은 주요 산업 대비 약 2~5배까지 큰 수준이다.
KTOA는 해외와 비교해 국내 통신사업자들의 취약계층 요금 감면 규모가 크다는 점도 강조했다. 해외 주요국의 요금감면 범위는 미국 유·무선 전화, 광대역인터넷 중 택1종, 스페인과 프랑스는 유선전화 1종만을 감면하는 데 비해, 우리나라는 4종(유선전화·이동전화·인터넷전화, 초고속인터넷)의 서비스 모두 감면하고 있다.
전체 인구 대비 감면자 비율도 우리나라가 15.1%로 미국(2.2%), 스페인(0.0007%), 프랑스(0.0008%)에 비해 최대 2만배 이상에 달한다. 요금감면 금액은 스페인보다 89배, 프랑스보다 191배 더 많다. 미국의 경우, 이동통신에 대한 감면을 제공하지만, 인구수가 우리나라 대비 6.5배에 달하는 상황에서도 감면액은 우리나라보다 오히려 적다.
이상학 KTOA 부회장은 “고령화, 디지털화라는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라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 통신요금뿐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 단말기, 앱 구매 지원 등의 다양한 방면으로 디지털 복지 범위가 확대돼야 한다”라고 말하며 “지속 가능한 디지털 복지는 국가와 디지털 생태계의 모든 참여자가 함께해야 할 사회적 책무로 정부의 역할 및 재원 분담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