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 대표는 “바이오기업들은 숙명적으로 적자가 나게 되고 그 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그러다 보니 상위에 포진돼있는 바이오기업들이 공매도의 타깃이 된다”며 “바이오처럼 성장하고 있는 미래전략 사업에 대해서는 공매도를 좀 제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요즘 초기 비상장 바이오텍들의 투자가 왜 이렇게 저조하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며 “저는 (그 이유가) 상장 기업들의 주가가 너무 안 올라가서 그렇다고 생각한다”고 짚었다.
상장 바이오텍들의 주가가 잘 상승하지 않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신약 개발에 10여 년 이상 걸리는 바이오텍의 특성상 흑자 전환까지 오래 걸리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된다. 만성 적자가 이어지면서 유상증자, 전환사채(CB) 발행 등 외부 자금 조달이 잦은 점도 문제다.
황 대표는 “현정부가 공매도에 우호적인 태도가 아닌 걸로 안다”며 “모든 산업에 대해 공매도 제한을 해달라는 것이 아니라 미래전략산업에 한해서는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재차 말했다. 바이오기업의 공매도 제한을 통해 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자는 차원에서 이 같은 발언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금융당국은 벤처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술특례상장 제도 개선을 추진키로 했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가 자본시장연구원·벤처캐피탈협회·바이오협회 등 유관기관과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내달까지 현행 기술특례상장 제도·운영에 대한 보완 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것이다.
특히 국가적으로 중점적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첨단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대해서는 ‘의무적 기술평가’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특례상장에 탈락한 기업들에 미승인 사유를 적극적으로 알려주면서 재도전을 지원하는 방안도 구체화한다.
황 대표는 “올해 들어 한국거래소에서 바이오기업 상장을 수월하게 해주려고 많이 노력하고 있는 것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한다”면서 “거래소가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만들었기 때문에 바이오산업이 이 만큼 성장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