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고속도로를 도심 간선도로로 활용하고, 교통 혼잡도에 따라 다인승 전용차로를 시범 운영한다. 또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해 주 단위 모니터링을 통해 교통 혼잡도를 분석해 평균 통행속도를 기준으로 삼아 단계별로 대응하는 전략을 도입한다.
공사가 본격 시작되는 이달 말부터 1단계가 적용된다. 평균속도가 20㎞/h 이하로 내려가면 2단계, 15㎞/h 이하로 매우 혼잡해지면 3단계를 시행한다. 1단계 대책은 공사가 시작됨과 동시에 교통혼잡을 줄이기 위해, 홍보와 계도, 약한 규제 정책을 포함하고 있다.
대전시는 시차출근제 활성화, 승용차요일제 참여 혜택 확대, 출퇴근 시간 시내버스 및 지하철 집중배차, 무궤도 굴절차량 시범 운영, 타슈·자전거 등 개인 이동장치 이용 활성화 등을 권고할 예정이다. 일부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66개 우회경로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대전천 하천 도로를 적극 활용하며, 천변고속화도로 버스전용차로를 24시간 단속을 한시적으로 유예한다.
2단계 대책은 평균 통행속도가 20㎞/h로 감소할 경우 인센티브와 함께 약한 규제 정책을 시행한다. 대전시는 외곽 순환형 고속도로망을 적극 활용해 차량 흐름을 분산하고, 교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주 단위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교통 흐름이 20㎞/h 이하로 악화할 경우 전국 최초로 다인승 전용차로를 시범 도입할 예정이다.
통행속도가 20㎞/h 이하로 저하될 가능성이 높은 진잠네거리에서 서대전네거리(계백로)까지 구간은 한정된 도로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다인승 전용차로를 시범 운영한다. 트램 공사 기간 다인승 전용차로를 운영해 효과를 분석한 후 확대 적용도 검토할 방침이다.
3단계 대책은 통행속도가 15㎞/h 이하로 교통체증이 극심해질 경우 더욱 강력한 교통 정책이 도입된다.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 구간을 기존보다 확대해 관내 8개 영업소에서 적용하고, 현행 K-패스에 추가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어 공공기관 승용차 2부제 시행, 주차장 유료화 및 요금 인상 등을 통해 승용차 이용을 줄이고, 이후 대학교, 일반 기업체에도 참여 동참을 요청할 계획이다.
남시덕 대전시 교통국장은 “대전 시민이 오랜 시간 기다려 온 도시철도 2호선이 마침내 현실화하는 순간을 맞이했다”면서 “공사로 인한 불가피한 부분이 예상되지만 대전의 미래 교통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민 불편을 줄이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으로 시민들의 양해와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