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보기만 해도 식은땀이"…'키오스크' 벽 앞에 선 노인들

김세연 기자I 2024.10.15 13:51:26

병원·구청·음식점까지… 2년새 키오스크 2.6배 급증
비문해자 많은 노인층 키오스크 사용 어려움
“키오스크 용어 단순화하고 사용법도 더 쉽게 이루어져야 해”

[이데일리 김세연 기자] “키오스크(무인 주문 기계)만 보면 심장이 벌렁벌렁하고 식은땀이 나요.”

평생을 한글을 모른 채 살아왔던 이태욱(78)씨는 요즘 외출을 하기가 겁이 난다고 했다. 주문을 할 때 말로 하면 됐었는데 키오스크를 둔 상점이 급증하면서 쩔쩔맬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생겨서다. 이씨는 성인 문해학교에 다니기 전에는 키오스크 안의 글을 아예 읽을 줄 모르니 키오스크 이용법을 배우는 것조차도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서울 동대문구의 한 성인 문해학교에서 서앵순(78)씨가 키오스크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김세연기자)
국가문해교육센터가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3년마다 진행하는 성인문해능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성인 비문해자는 146만명(3.3%) 수준이다. 60세 이상으로 대상을 좁히면 비문해자 비율은 10.1%에 달한다. 60세 이상 인구 10명 중 1명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읽기, 쓰기가 불가능하다는 뜻이다.

이들에게 키오스크는 공포의 대상이다. 그동안 글을 모르는 게 티 날까 두려워 숨어들기도 했던 이들은 더 큰 두려움에 직면했다고 토로했다. 최근에서야 문해학교에 다니기 시작한 서앵순(78)씨는 “겨우 한글을 배워서 키오스크를 만져도 영어가 너무 많다. 한글 뒤에 영어로도 꼭 토를 다는데 그게 무슨 말인지를 모르니까 불안해서 잘 못 시킨다”고 토로했다.

비문해자들의 걱정에도 전국의 키오스크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키오스크 보급 현황은 2021년 21만 33대에서 지난해 53만 6602대로 2년 만에 2.6배 증가했다.

특히 키오스크마다 이용법이 다르다는 점도 문제다. 신지영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키오스크가 수용자 중심으로 돼 있지 않은 것이 굉장히 문제”라며 “키오스크가 쓰이는 장소마다 체계도 완전히 다르고 업체마다도 사용법이 달라 직관적으로 사용하기가 굉장히 어렵다”고 지적했다. 동대문구의 한 문해학교에서 근무하는 김윤환(32)씨도 “어머니들이 열심히 학교에서 글을 배워가도 매장마다 키오스크가 너무 다르니까 힘들어하신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민간 업체들에 키오스크 체계 일원화를 강조할 순 없다. 정보 격차 해소 등을 담당하는 준정부기관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관계자는 “키오스크 운영사나 제조사와 함께하는 키오스크 협의체를 통해 키오스크 템플릿이나 기본적인 구조, 문구 등을 제공하고 권고한다”면서도 “이미 사용되고 있는 키오스크 체계를 변경하는 것도 다 돈이기 때문에 업체들의 협조가 쉽게 이뤄지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규제를 강요하는 건 어렵다면서도 기계 사용법과 용어를 단순화해 디지털 장벽을 낮추는 게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허준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는 “민간 업체들을 대상으로 규제하는 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결국 업체들도 많은 사람이 사용하게끔 하는 게 목적이니 디지털 기기의 사용 장벽을 낮추자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행정 용어나 영어 등 어려운 용어들을 쉽게 만든 과정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