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한석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최덕용 호주국립대 교수, 피터 라키치 예일대 교수, 고광훈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 롱핑 왕 닝보대 교수 연구팀과 중적외선 파장 대역에서 주파수 흔들림이 작은 브릴루앙 레이저를 초소형 반도체 칩 위에 최초로 구현했다고 31일 밝혔다.
|
특히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에서 투명해 광소자 제작에 사용되었던 많은 물질이 중적외선 파장에서는 빛을 강하게 흡수해 이용할 수 없었다. 중적외선의 특징인 빛과 분자 사이 강한 상호작용으로 여러 광 손실이 발생해 고성능 광소자를 제작하기도 어려웠다.
연구팀은 중적외선에서 투과도가 높지만 가공하기 까다로운 칼코겐화합물 유리를 성형해 초고품질 광공진기를 제작했다. 또 중적외선 광소자에 고유한 표면 흡착 분자에 의한 광손실을 분석하고 억제하는 기술을 구현해 중적외선 파장 광 손실이 기존 세계기록 대비 30분의 1에 불과한 고성능 광소자 칩을 개발했다.
브릴루앙 레이저의 발진을 위해 필요한 최소 동작 전력은 광 손실의 제곱에 비례해 줄어들기 때문에 해당 광소자를 이용해 기존보다 최소 동작 전력을 1000배 이상 낮춰 중적외선 파장에서 해당 현상을 구현했다.
중적외선 대역에 상용화된 광파라메트릭 레이저나 양자폭포레이저는 주파수 선폭이 1 메가헤르츠(MHz)가량으로 넓어 이를 이용한 분석 정밀도에 한계가 있었는데, 개발된 레이저 소자는 이보다 만분의 일 정도 작은 선폭의 고순도 중적외선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한석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개발된 레이저 소자를 현재 연구되는 칩 크기 양자폭포레이저나 중적외선 광검출기와 결합하면 화학, 생물학, 재료학에 쓰는 거대한 중적외선 측정 장비들을 소형화해 좀 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19일자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