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 의원은 이날 CP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얄팍하게 한두 자리(장관직)를 가지고 정략적으로 이용하는 부분엔 진심이 무엇인지 보수적인 국민들이 오해는 할 것”이라면서도 이같이 평했다.
그는 “물론 이제까지 다른 정책이나 기조를 보면 문재인 대통령의 협치를 기대는 할 수 없었다”며 “그 동안에는 말로만 협치를 하겠다고 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번 개각을 통해서 ‘야당과 장관 등도 같이 나누겠다’는 기본 생각은 협치를 통해서 정치를 잘 운영하겠다는 생각이고 괜찮은 생각”이라며 “개인적으론 상당히 좋은 방향이라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다만 이 같은 강 의원의 반응은 당 공식 입장과는 다소 결이 다르다.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전날 청와대 발표 후 “장관자리 나눈다고 협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일고의 가치도 없는 제안”이라고 일축했다.
3선 중진으로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이기도 한 강 의원은 남북정상회담에서의 ‘연내 종전선언 추진’ 합의엔 “국민안전을 위해서 북한의 비핵화가 우선이지, 종전선언이 급한 것은 아닐 것”이라고 했다.
강 의원은 “미국에서는 북한의 가시적인 비핵화를 강하게 요구를 하는데 북한은 그에 대한 답이 전혀 없다”며 “체제보장이라든지 여러 가지 이유로 대치하고 있는데, 그래서 종전선언보다는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인 진전을 달성하는 게 우선적으로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는 비핵화 전까지 강도 높은 대북제재 유지 필요성을 주장했다.
강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에 남북 교류를 이유로 유엔 제재 예외 요청을 받아낸 것만 해도 7건이었다”며 “최대 북핵 피해 당사자인 한국이 제재 예외 인정을 받아내고 앞으로도 여러 남북사업에 필요한 부분이라는 그런 이유로 또 제재 예외조치를 인정받으려 한다면 유엔에서 제재 조치를 잘 지켜줄 수 있을까 의문”이라고 했다.
그는 “북핵 당사자인 우리나라가 앞장서서 대북제재를 완화해달라는 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대북제재 틀 안에서 가능한 협력 방안을 모색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