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안전처)는 4일 전국 17개 지방자치단체 226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역안전지수 등급(1~5등급)을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안전지수는 지자체의 안전수준을 계량화한 것이다. 이번 결과는 지난해 지자체별 사망·사고 건수 등을 토대로 7개 분야(화재, 교통사고, 자연재해, 범죄, 안전사고, 자살, 감염병) 평가가 이뤄졌다.
평가 결과 서울시는 화재·교통사고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지만, 범죄(4등급) 및 안전사고 (4등급) 분야에서는 하위등급에 그쳤다. 서울시는 자살 분야는 3등급, 감염병·자연재해 분야는 각각 2등급을 기록했다. 하위등급으로 갈수록 관련 분야 인구 1만명 당 사망자 수, 사고발생 건수가 많아 안전도가 낮다는 뜻이다.
서울시 자치구의 경우 범죄 분야는 종로구·중구·영등포구, 안전사고 분야는 종로구·중구·용산구·영등포구가 하위등급(5등급)을 받았다. 자살분야는 중구, 자연재해 분야는 강서구, 화재 분야는 종로구·중구가 5등급을 받았다. 교통·감염병 분야 5등급에 서울시 자치구는 포함되지 않았다. 작년 통계를 기준으로 해 메르스 등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반영되지 않은 때문으로 보인다.
자연재해·범죄·안전사고·자살 분야는 세종특별자치시, 감염병 분야는 울산광역시가 1등급을 받아 ‘안전한 도시’로 꼽혔다. 화재·교통사고·안전사고·자살·감염병 분야는 경기도, 자연재해 분야는 전북, 범죄 분야는 전남이 1등급을 받았다.
대구 달성군은 6개 분야 1등급, 경북 울릉군·충북 증평군은 5개 분야 1등급, 서울 송파구·부산 기장군·인천 옹진군·울산 울주군·경기 수원·군포시는 4개 분야에서 1등급을 받았다. 박인용 장관은 “지역안전지수 공개가 안전 수준을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하루 85명씩 발생하는 안전사고 사망자 수가 획기적으로 줄어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역안전지수는 2012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지자체에 종합적이고 정확한 지역안전 통계를 제공하자는 취지로 검토가 시작했다. 안전행정부에서 2013년 당시 국민안전종합대책을 발표하면서 논의가 착수돼 안전처에서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제66조 8항(안전지수의 공표)에 근거해 이번에 발표하게 됐다.
|
|
|
☞ 소방관 10명 중 4명, 소방장비 자비로 구매
☞ 소방관 10명 중 8명, 근무중 다친 치료비 자비로 부담
☞ [단독]'메르스 환자' 탄 119, 14시간 무방비 운행..9명 격리
☞ "불 늦게 껐다고·환자 못구했다고" 119에 줄소송
☞ [CCTV전성시대]119 구조지원·클래식 방송까지..진화하는 CC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