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방역패스 폐지의 가장 큰 이유로 음성확인서 발급용 검사로 인한 보건 인력 과부하를 들었다. 전 차장은 “최근 확진자 급증에 따라 방역패스용 음성확인서 발급에 많은 인력과 자원을 투입해온 보건소는 이번 조치로 고위험군 확진자 관리에 보다 집중할 수 있게 돼 현장의 오미크론 대응 역량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불만이 있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전체 사회에서 방역패스를 확인하고, 방역패스에 따라서 시설을 이용하는 이런 식의 사회적 비용들은 거둬들이는 쪽으로 조치를 한 것”이라고도 언급했다.
방역패스 폐지에 발맞춰 내달 1일부터는 보건소의 음성확인서 발급이 전면 중단된다. 방역패스 외 목적으로 음성확인이 필요한 경우는 민간의료기관에서 음성확인소견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최근 방역패스는 △미접종자는 성인의 4%인데 반해 신규 확진자는 일 최대 17만명이라는 점 △전자출입명부(QR코드) 동선추적 기능 폐지 △자가격리 애플리케이션 동선 추적 장치 폐지 등이 맞물려 무용론이 제기됐다. 특히 지난달 23일 대구지법에서 60세 미만을 대상으로 식당·카페 등에서 방역패스 적용을 중단하라는 결정을 내리며 상황은 복잡하게 됐다. 경상북도에서는 자체 방역패스 적용 중지 검토까지 나왔다.
결정타는 여야 대선 후보의 방역 완화론으로 보인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27일 자신의 SNS에 “자영업자·소상공인이 가장 바라는 것은 예전과 같이 24시간 자유롭게 영업하는 것”이라며 “당위성이 상실된 백신패스도 폐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도 지난 21일 ‘청소년 방역 패스 폐지 검토’와 함께 “3차 접종자에 한해 거리두기 제한을 24시로 완화해줄 것을 다시 한번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3월 9일 대선을 불과 열흘 앞두고 방역패스에 대한 각종 논란이 심화되자 정부는 결국 이를 사전에 차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 역시 “정치권과 언론 등의 문제 제기도 지속해 왔고, 이러한 점들을 고려했다”고 답했다.
다만 방역패스의 일시적 중단은 새로운 변이 등장, 백신 접종 상황 악화 등에 의해 언제나 다시 부활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이날만 개별 계약된 모더나 백신 122만 7000만회분이 송도공장에서 출고되고, 올해 도입될 백신 분량만 약 1억 4010만회분이나 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향후 방역패스 재도입 가능성은 더욱 설득력을 가진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