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반도체 영향 작아" VS "HBM도 우려" 갑론을박

김소연 기자I 2024.07.23 14:09:06

美中 갈등에 따른 반도체 부정적 영향 불가피
반도체 中수출 비중 줄여…의견 엇갈려
"트럼프2기, 중국 고립 더 심화…韓 전략 짜야"

[이데일리 김소연 기자] 조 바이든 대통령의 후보 사퇴에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트럼프 2기를 놓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기업들이 이미 탈중국화를 진행해오면서 반도체 분야의 피해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예측과 미중 갈등에 따른 부정적 영향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엇갈리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버틀러에서 대선 유세 도중 총격으로 오른쪽 귀를 다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경호 요원들에게 둘러싸여 연단을 내려오면서 성조기를 배경으로 지지자를 향해 주먹을 불끈 쥐어 보이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23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부통령 후보로 지명한 JD 밴스 오하이오 연방 상원의원은 과거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를 옹호해 왔다. 이 때문에 그가 어떤 정책을 펼칠지에 따라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투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빅테크를 향한 규제를 강화하면 데이터센터나 AI 투자가 줄어들 수밖에 없고 이 영향이 결국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와도 연관이 있을 수 있어서다.

밴스 후보는 제조업 부흥을 주장하며, 구글 등 빅테크 기업에 대한 반독점 규제 옹호해 왔다. 그는 2022년 상원 선거 운동 기간 빅테크 기업들을 기생적이라고 비난하면서 바이든 행정부의 반독점 규제를 지지했다. 여기에 더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대만의 TSMC를 겨냥해 “대만이 우리의 반도체 사업을 모두 가져갔다”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미국 우선주의와 더불어 보호무역주의 역시 한층 강화될 수 있는 대목이다.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반도체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걱정거리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당선 시 중국에 대해 관세율 60%를 일괄 적용해 중국산 물품 수입 자체를 어렵게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고관세에 따라 중국 경기가 크게 둔화하면, (한국의) 가장 큰 시장의 수요가 악화하는 것”이라며 “한국 반도체 수출에는 근본적인 부담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미 반도체 업체들이 탈 중국화를 진행하면서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반론도 만만치 않다. 중간재 수출품인 반도체는 앞서 트럼프 1기때 피해를 입었던 것보다는 영향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이미 반도체 수출에서 중국과 홍콩이 차지하는 비중은 축소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019년 트럼프 집권 당시 중국산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했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후 시안 팹과 우시 팹에서 생산하는 중국산 반도체를 중국 고객으로만 판매했다”고 분석했다. 미국향 제품은 이미 한국산 반도체로 대체하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 재집권 시에도 대중관세율이 메모리 반도체에 직접 영향을 주기 어렵다는 것이다.

트럼프의 정책도 AI 흐름을 거스르긴 어렵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 기업이 전략을 짜야 한단 조언이다. 범진욱 서강대 교수는 “중국의 고립은 더욱 심화할 것이다. 중국을 향한 견제 상황에서 전략적으로 국내 반도체 기업의 이익을 취해야 한다”며 “AI 시장을 선점하려는 빅테크의 경쟁은 심화할 것이고 AI 수요가 줄어들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4 美대선

- 트럼프, 취임날 사상최대 이민자 내쫒는다…푸틴엔 “확전 말라” - "韓, 트럼프 고관세 타깃될 수도…車 표적 가능성 대비해야" - [이지혜의 뷰]트럼프 수혜주 분석 1탄..'LG엔솔 머스크 손잡고 우주로'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