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각국 정부와 인증 논의는 어떻게 되고 있나요?” “배터리는 한국산을 쓰나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세계 최대의 IT·가전 전시회 ‘CES 2023’ 참관차 출국한 국회의원들이 글로벌 1위 플라잉카(UAM)기체 제조기업인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을 방문했다.
정부가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부터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실증사업 ‘그랜드챌린지’를 본격 추진하는 가운데, 의원들은 ‘조비’의 기술력과 각국의 기체 인증 현황에 관심을 보였다. 조비가 한국산 배터리를 쓰는지 묻기도 했다.
10일 국회와 업계에 따르면 박성중, 조승래, 윤영찬, 김병욱, 강훈식 의원은 최근 샌 칼로스 (San Carlos)에 위치한 조비 개발센터 부품 생산 공장을 1시간 30여 분간 방문했다. 조비 측에선 조벤 비버트(JoeBen) CEO 등이 참석했다.
조비는 실리콘 밸리 UAM 기체 제조 스타트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조 단위 이상의 투자를 받았다. 지난해 SK텔레콤(017670)과 제휴해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등과 함께 국내 UAM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의원들은 UAM이 도입되면 상당한 혁신이 있겠다고 언급하면서, “SKT는 언제 이렇게 준비했느냐?”고 놀라워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체 개발 수준에 관심…SK온 배터리로 기술테스트
박성중 의원은 “기체 개발 수준은 어떤가?”라고 물었고, 모터와 배터리 프로펠러 생산 라인을 보고는 “한국산 배터리를 사용하는가?”라고 질문했다.
조비측은 “현재 테스트 중인 기체의 배터리는 SK온 제품”이라고 답하면서 “개발시험 수준을 인증하는 단계이며, 2025년 상용화가 목표”라고 답했다. 플라잉카는 궁극적으로 자율주행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기술 인증이 중요하다. 조비측은 2024~2025년쯤 인증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조승래, 윤영찬 의원은 각국의 UAM 기체 인증 상황에 관심을 보였는데, SKT측은 “일본 감항당국(Japan Civil Aviation Bureau, JCAB)이 협정을 통해 진행 중인 것처럼, 한국도 기체인증, 운항증명, 조종사 면허 등에 대해 UAM 특별법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면서 “국토부와 미 연방 항공청(FAA)간 한미 항공안전협정(BASA)상 FAA인증 시 바로 국내에 기체 도입이 가능하나 국내 항공안전법 상 특별기체 추가는 필요하다. 국토부와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기술 인증 이뤄져도 일정기간 조종사 비행
다만, 기술 인증이 이뤄져도 당장 조종사 없이 플라잉카 자율주행 비행을 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 비행은 언제쯤 가능하냐?”는 윤영찬 의원 질문에, 조비측은 “주요 기술은 일부 확보했지만, 시민 수용성 규제기관은 부정적이어서 일정 기간은 조종사 비행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밖에도 김병욱 의원은 조비가 만든 기체를 해상 운송용으로 쓸 수 있는지, 요금은 얼마나 될지 등을 물었고, 조비측은 “배터리 용량 증대를 위한 추가 장비 규정이 필요하나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하면서 “요금은 연료비(전기료), 정비비용, 조종사비용, 기체비용 등을 고려해 향후 정해질 것”이라고 했다.
조비 에비에이션외에 UAM 기체 제조사들은 어떤 곳이 있는 가도 관심이었다. 박성중, 강훈식 의원이 질문했고, 조비측은 “볼로콥터(Volocopter), 베타(Beta Technologies), 릴리움(Lilium), 아처(Archer) 등이 있지만, 기술과 제조 수준은 조비가 글로벌 1위”라고 자신했다.
|
박성중, 허은아, 조승래, 윤영찬 등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지난 9일 오후 2시(현지시간)구글 본사를 방문해 대관 및 유튜브 담당 등과 2시간 30여 분 동안 만났다.
구글에선 마컴 에릭슨 구글 글로벌 정책 부회장, 캐서린 오야마 유튜브 글로벌 정책 디렉터, M.K. 팔모어 클라우드 디렉터 등이 참석했다.
구글의 인앱결제강제방지법 우회, 망 사용료와 세금 회피 등에 대해 여야 할 것 없이 강도 높게 질타해 구글코리아 고발을 의결한 지난해 국감에서처럼 심각한 분위기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국회에 따르면, 과방위 여야 간사인 박성중, 조승래 의원이 센 분위기를 주도했고. 망 사용료 문제에 대한 구글 본사의 명확한 의견 표명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글측은 “잘하고 있다”라는 취지로 답했지만, 의원들은 “구글이 생각하는 것과 현실은 다르다”면서, 한국에서 사업하면서 한국 규칙을 잘 지키고 한국 국민을 존중하라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한다.
의원들은 구글코리아가 아무 역할을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구글 본사와 정부 간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허은아 의원은 페이스북에 “구글 경영진과 마주 앉아 소통하다 보니 지난 국감 때 가졌던 오해가 사라진 부분도 있었다”면서도 “그런데 많은 관심사인 망 사용료에 대해선 여전히 부정적이었고, 인앱결제강제 방지와 세제 등에서도 이견이 있었다”고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