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거지 재생은 기반시설 여건과 주민갈등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재개발을 도입하고 주민이 원하지만 재개발이 불가능한 곳은 소규모 주택정비를 추진한다.
오세훈 시장이 공약한 ‘모아주택’도 본격 적용한다. 소규모 필지를 보유하고 있는 토지주들이 지하주차장 확보가 가능한 면적(500㎡) 이상을 모아서 공동주택을 지으면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이로써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는 동시에 주택가 주차난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옥밀집지역 같이 도시계획적 규제로 재개발이 어려운 곳은 기반시설 개선 및 주택성능 개선 지원 등을 통한 종합적인 재생이 도입된다.
거점공간 조성, 공동체 활성화 사업에 치중됐던 중심지 특화 재생은 창동상계, 마곡 등 5개 권역별 거점과 연계되는 민간 주도의 거점을 개발하고 도시재생과 접목해 새로운 혁신사업과 일자리를 창출한다.
그 시작으로 시는 김포공항 내 43만㎡에 이르는 가용부지에 민간개발을 유도해 항공 관련 신산업을 중심으로 한 서남권 미래산업 특화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2세대 도시재생에서는 복잡했던 기존 도시재생 4개 유형(경제기반형, 중심시가지형, 일반근린형, 거점확산형)을 2개(지역경제와 직결되는 ‘중심지 특화재생’, 노후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주거지 재생’)로 간소화하고 실행방식을 총 6가지로 다양화했다.
|
신규 지역 선정은 기존 사업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한다는 원칙아래 최소화하되 재생사업을 원하는 지역은 주민의견을 꼼꼼히 따져 신규 지정한다.
시는 ‘2세대 도시재생’을 통해 2026년까지 주택 2만4000가구를 공급하고 8400명의 직간접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6년 간 시비·국비 7300억 원을 포함해 총 7조900억 원(민간투자 6조36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양용택 시 도시재생실장 직무대리는 “시민들이 체감하고 실생활에 도움이 되며 노후 주거지 개선과 민생·경제를 살리는 실질적인 도시재생사업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