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美 아이폰 공급 늘리고 투자 확대도 검토
인도 관계자 3명은 이날 FT에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 발표 이후 첸나이 국제공항에서 최소 10편의 항공편이 이륙했다”고 전했다. 관세율이 높은 중국산 아이폰은 미국 이외 국가에, 상대적으로 관세율이 낮은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은 전부 미국에 공급해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전 세계 모든 국가에 10% 기본 관세를, 무역적자가 큰 57개국엔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중국과 인도의 상호관세는 각각 34%, 26%로 책정됐다. 기본 관세는 지난 5일, 상호관세는 이날 각각 발효됐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 간 유예하고 기본 관세인 10%만 부과하기로 정책 궤도를 틀었다. 상호관세 발효 약 13시간 만이었다.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미국 경기침체 경고가 잇따르는 등 불안이 확산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현재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까지 높아진 상태다.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해 똑같이 34% 관세를 부과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했다. 지난 2월과 3월 10%씩 추가된 관세까지 더해 누적된 추가 관세만 104%에 달했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이 미국과 다른 나라들을 더 이상 농락하는 시대는 지속 불가능하며 용납할 수 없다”며 “미국은 즉시 중국산 제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애플은 첫 상호관세 발표 직후부터 대응에 나섰다. 인도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항공편을 대폭 늘린 것도 그 일환이다. 애플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시가총액이 약 7000억달러 감소했다. 이는 중국을 중심으로 첨단 제품 사업을 구축한 애플의 딜레마를 여실히 보여준다. 애플은 아이폰의 약 80%를 중국에서 생산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웜시 모한 분석가는 “인도의 아이폰 생산량을 전부 미국에만 할당한다면 매년 미국으로 출하되는 5000만대 이상의 아이폰 중 3000만대를 감당할 수 있게 된다”면서도 “단기적으로 (관세) 영향을 일부 완화하기 위해 노력이지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해결책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2명의 인도 소식통은 “애플이 인도에 추가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도 했다. 다만 관련 움직임은 애플이 아닌 공급업체에서 포착됐다. 애플 공급업체 자빌의 임원인 앤디 프리스틀리는 이날 신규 투자 논의를 위해 인도 타밀나두주의 MK 스탈린 주지사를 만났다. 자빌은 지난해 타밀나두주와 시설 확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애플의 직접 투자는 정책적 불확실성이 크다는 진단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유예한 것처럼 언제 또 정책이 바뀔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美제조 비현실적…최소 3년·44조원 필요”
애플은 지난 1월 ‘미국산 아이폰’ 제조를 위한 투자 계획을 발표했지만, 번스타인의 분석가들은 “아이폰 조립을 미국으로 옮기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도 “애플이 공급망의 10%만 아시아에서 미국으로 옮기려 해도 기간은 3년, 비용은 300억달러(약 44조원)가 소요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이에 따라 애플이 제품 가격을 인상해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관세 부담을 분산시키고, 일부는 협력·공급업체에 떠넘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문제는 애플이 자체 공장을 운영하지 않고 폭스콘, 페가트론 등과 같은 아시아 기반 협력 업체에 제조를 외주해 왔다는 점이다. 2023회계연도 기준 애플의 직접 지출 98%를 차지하는 공급업체 187곳 중 169곳이 중국 본토 및 대만에 생산시설을 두고 있다. 또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에 따르면 아이폰16의 최종 조립에는 총 387개의 부품이 사용된다.
모건스탠리의 에릭 우드링 애널리스트는 “애플의 생산은 수십년 간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깊숙이 뿌리내렸다. 이제 아이폰을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가격을 책정할 것인지 완전히 새롭게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모한 분석가도 “미국에서 아이폰을 조립하는 것이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부품들이 관세 대상이 된다는 게 문제”라고 거들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일부 개별 기업이 상호관세의 영향에서 면제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해 볼 것”이라며 가능성을 시사했다. 애플이 대상이 될 것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이날 애플의 주가는 상호관세 유예 소식만으로도 15% 급등했다.
FT는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대중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의지하고 있지만, 인도에는 제조를 크게 늘릴 만한 공급망이 없다”며 “장기적으로 상당한 관세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품 가격을 인상하거나 추가 비용을 감당할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