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올해 성장률 2.2%→2.6% 상향…경상수지 흑자 630억불 '쑥'

이지은 기자I 2024.07.03 12:30:00

[역동경제 및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국내외 주요기관과 비슷…1분기 성장·수출 호조 영향
경상수지 흑자 전망 130억↑…지난해 실적 1.8배 수준
"경제지표, 연초 전망 수준 또는 그 이상 흐름 예상"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정부가 수출 호조에 힘입어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상향 조정했다. 대체로 2%대 중반 수준을 내다본 국내외 주요 기관들과 비슷한 눈높이다. 연간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630억달러로 지난해 대비 갑절가량 끌어올렸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정부는 3일 발표한 ‘2024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2.6%로 전망했다. 올해 1월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한 전망치(2.2%)보다 0.4%포인트 올린 수치다.

앞서 올해 1분기(1~3월) 실질 GDP가 전분기 대비 1.3% 깜짝 성장해 시장 예상치(0.6%)를 웃돌면서 정부가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상당 폭 높일 거라는 관측에 힘이 실렸다. 당초 2.2% 전망치가 분기별 GDP가 약 0.5~0.6%씩 늘어난다는 시나리오에 기반한 만큼, 1분기 0.7~0.8%포인트 초과 성장만으로도 연간 성장률을 견인하는 효과가 있다는 해석이다. 2~4분기에 모두 0%를 기록하는 ‘제로 성장’이 이어지는 전제에서도 연간 성장률은 2.3% 정도로 추정됐다.

이날 정부가 내놓은 2.6% 성장률 예상치는 국내외 주요 기관이 내놓은 전망과 비슷한 수준이다. 지난 5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행도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2.1%에서 2.5%로 높였다. 이외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2.0%→2.5%),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2.3%→2.8%) 등도 올해 한국이 2% 중반대로 더 성장할 거라 예상한 바 있다.

수출 개선이 끌어올린 경기 흐름이 성장률 전망치를 올린 주요 요인이다. 김병환 기재부 1차관은 “올해 성장률은 1분기 양호한 실적과 최근 수출 호조세를 감안해 상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하반기에도 세계경제가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등 대외 여건이 개선되고, AI 수요 확대에 따라 반도체 경기가 호전됨에 따라 수출은 개선 흐름을 지속할 거라고 봤다.

국가 간 거래에 따른 손익을 나타내는 경상수지는 연간 500억달러 흑자에서 630억달러 흑자로 대폭 올렸다. 지난해 실적인 355억달러 흑자와 비교하면 약 1.8배 수준이다. 6월 무역수지(80억달러)가 2020년 9월(84억 2000만달러) 이후 최대치 흑자를 기록하는 등 빠른 개선세를 보인 영향이다. 일시적 배당유입 확대 효과가 사라지고 해외여행은 증가하면서 서비스·소득수지는 적자가 예상되지만, 수출 증가세에 따라 상품수지 흑자 폭이 확대될 거라는 예상이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2.6%를 유지했다. 상반기에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 불안으로 3% 초반까지 상승했으나, 4월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해온 기조가 반영됐다. 정부는 하반기로 갈수록 공급측 요인이 완화돼 물가가 2% 초중반까지 둔화할 거라고 내다보면서도 국제 에너지 가격, 기상 여건 등에서 불확실성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취업자 증가 규모도 당초 전망대로 23만명을 유지했다. 연초에는 고용시장이 예상보다 호조를 보였으나 최근 증가 폭이 축소하는 경향이 보이는 데 따른 것이다. 올해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이후 최근 2년간 큰 폭으로 증가한 영향으로 인해 기저효과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김 차관은 “전반적으로 우리 경제지표가 연초 전망했던 수준 또는 그 이상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아직 부문 간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면서 “하반기에는 경제지표 개선이 더 넓게 확산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보완이 절실히 필요한 부분에 정책 대응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