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NRF, 산화스트레스 물질에 미생물이 살아남는 메커니즘 규명

오희나 기자I 2016.08.29 12:00:00

신약 개발, 환경오염물 제거 등 적용 기대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이봉진 교수(서울대) 연구팀이 미생물 몸 안으로 외부의 산화스트레스 물질이 들어왔을 때 미생물이 대응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원자 수준에서 발견했다고 29일 밝혔다.

산화스트레스 물질은 미생물이나 사람의 세포 속의 안정된 산화환원 반응을 방해해 세포 내 신호 교란 등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사람의 경우 많은 질병의 원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산화스트레스 조절은 미생물에서 고등생물까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사람의 경우 산화스트레스 조절이 안 될 경우 암과 같은 큰 질병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산화스트레스 조절 작용은 단백질의 구조 변화와 밀접하다. 연구팀은 산화스트레스 물질이 들어왔을 때 반응하는 미생물 체내의 요드비 단백질은 서로 다른 종류의 산화스트레스 물질을 만나면 각기 다른 구조 변화를 일으킨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독성의 강도가 다른 두 종류의 산화스트레스 물질을 실험했다. 그 결과, 독성이 강한 메틸벤조퀴논 화합물은 요드비 단백질에 직접 결합해 요드비 단백질 구조의 일부에 대해 그 구조 변화를 적게 일으키는 반면, 독성이 약한 다이아마이드는 요드비 단백질의 전체 형태를 크게 변화시켰다.

또한 산화스트레스 물질 유입량을 비교할 때 독성이 약한 다이아마이드는 많은 양이 미생물 안으로 들어와야 요드비 단백질의 큰 구조 변화를 일으키며, 독성이 매우 강한 메틸벤조퀴논 화합물은 유입되는 양이 매우 적어도 요드비 단백질의 구조 변화를 적게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독성이 강한 소량의 메틸벤조퀴논 화합물이 미생물에 들어왔을 때 요드비 단백질이 쉽게 유전정보물질에서 떨어지게 되고, 그 결과 독성물질을 해독하는 일을 하는 효소들이 많이 생산됐다.

반면 독성이 약한 다이아마이드의 경우 1,000배 이상의 많은 양이 미생물에 유입됐을 때 메틸벤조퀴논 화합물이 일으킨 결과와 같은 양의 방어효소가 만들어졌다.

이봉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 동안 관찰이 어려웠던 다양한 산화스트레스를 미생물이 어떻게 다르게 인지하고 반응하는지 밝힌 것”이라며 “향후 신약 개발, 환경오염물 제거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 과학기술국제화사업, 교육부 BK21플러스사업, 리서치펠로우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성과는 세계적인 과학기술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16일자에 게재됐다.

새롭게 규명한 산화스트레스 조절 메커니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