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목 보강 목표는 모두 1000그루로 이 나무들이 활착하면 기존 5000여그루와 함께 어울리며, 홍예공원은 국내외 유명 공원에 견줘도 손색 없는 울창한 수풀을 자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명품화 사업을 통해 보강하고 있는 수목 중에는 정이품송과 충남 대표 노거수의 자목 등이 포함돼 눈길을 끌고 있다. 정이품송 자목은 충북 보은군이 2013년 국가유산청의 허가를 받아 정이품송 종자를 채취·발아시켜 키운 2014년생 4m 크기의 소나무다.
홍예공원 홍성 쪽 충남공감마루 인근과 예산 쪽 주출입구 인근에 한그루씩, 두그루를 지난달 26일 옮겨 심었다. 정이품송 자목과 같은날 충남공감마루 인근 가칭 ‘후계목 정원’에 이식을 마친 충남 대표 노거수 자목은 △홍성 성삼문 오동나무 △아산 형제송 △공주 신촌느티나무 △금산 돌배나무 등 4그루로 2010년생에 수고는 2~5m다.
이 나무들은 도 산림자원연구소가 2010년 실시한 노거수 후계목 육성 사업을 통해 키워 온 것으로 산림자원연구소 이전을 앞두고 남아 있던 모두를 옮겨왔다.
이 오동나무는 1950년 한국전쟁 때까지 살아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현재 성삼문 선생 생가인 홍북읍 노은리 고택에 서 있는 오동나무는 북을 매달았던 나무의 자목이다.
이번에 홍예공원으로 옮긴 나무는 노은리 고택 오동나무의 자목이라는 점에서 성삼문 오동나무 ‘손자목’인 셈이다.
아산 형제송은 임진왜란 때 형제 장수가 아산만에 쳐들어온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자리에서 자라난 두 그루의 해송을 주민들이 보고 형제의 혼이 환생했다며 붙인 이름이다. 어떤 나무꾼이 이 나무에 도끼를 댔더니 붉은 피가 흘러 자르지 못했다는 전설도 있다.
공주 신촌느티나무는 의당면 도신리에 자라고 있는 것으로 조선 개국 때 고려 왕족이 신촌마을로 들어와 심은 것으로 전해진다. 처음에는 두그루를 심었지만 세월이 흐르며 현재는 하나로 합해진 이 나무는 600년 동안 마을 주민들이 수호신처럼 여겨왔다.
이 나무는 특히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마다 울음소리를 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한일강제병합 때 20여일 동안 우는 소리에 마을 사람들이 잠을 이루지 못했고, 8·15 광복과 6·25 한국전쟁 때에는 10여일간 울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금산군 진산면 묵산리 돌배나무는 수령 430년으로 임진왜란 때 여러그루의 돌배나무 중 유일하게 살아남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돌배나무의 꽃이 잘 펴 열매가 많이 열리면 풍년이 들고, 잘 열리지 않으면 흉년이 온다고 한다.
홍예공원에는 이밖에 홍성군 갈산면 팽나무가 새롭게 터를 잡았으며, 2023년 홍성 산불 때 살아남은 느티나무 15그루도 옮겨질 예정이다.
충남도 관계자는 “앞으로도 산림자원연구소에서 홍예공원에 적합한 나무를 추가로 선정해 이식하고, 도민참여숲 조성 사업을 통해 각종 나무를 기부받아 공원을 보다 풍성하게 채워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