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학여행은 지금부터 100여년 전에 시작돼 학창시절의 추억과 다양한 현장 체험학습의 기회를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자연이나 역사문화 유적지를 탐방·관찰·견학하면서 단체 활동을 통해 협동심과 자율성을 함양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돼 온 것이다.
최근에는 학교평준화에 따른 구성원의 이질성, 학생규모의 거대화, 사회의 복잡화 그리고 가족여행의 보편화에 따라 그 의미가 다소 달라지긴 했지만 공동체 의식 형성과 자율성 함양 등을 위해 여전히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세월호 사고 이후에 안전상의 이유로 수학여행의 필요성에 대한 재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독일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 여전히 교육 수요자들은 수학여행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학생의 74%, 학부모의 62.2%가 수학여행 폐지를 반대(교육과정평가원, 2014.6)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물론 세월호 사고의 원인은 수학여행 그 자체에 있었던 게 아니라 뿌리 깊은 사회 부조리와 안전 불감증에서 온 것이다. 그렇다고 지금의 형태로 수학여행을 그대로 시행한다면 재발의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도 개선은 필요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기존의 수학여행에서 발생할 수 있었던 안전상의 문제를 극복하면서도 수학여행 본래 취지를 발전적으로 계승해 나가는 방법은 무엇일까.
최근 교육부에서는 안전하고 교육적인 수학여행이라는 목표 아래 ‘소규모·테마형 수학여행 활성화’ 방안을 장려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교과서 내용과 지역 자원을 활용해 △문학기행 △역사기행 △생태기행 등 테마에 따른 여행계획을 세우고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로 수학여행이 이뤄지는 방식이다. 특히 전체 학년 단위가 아닌 소규모로 수학여행이 운영되기 때문에 대규모 행사에 비해 사고 위험이 줄어드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아울러 소규모 단위로 수학여행이 이뤄져 실질적 체험에 따른 교육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다. 기존의 수학여행과 달리 학생들에게 테마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된다는 장점도 있다. 여행 후 학생들 간에는 자연스런 비교평가가 이루어질 것이고 이는 학생들의 의사결정능력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생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여행사 연계방식에 약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가 수학여행 유치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숙박시설, 전담 해설사나 안전지도사를 배치해 지도교사와 공동 인솔하는 등의 방법도 효과적이다.
수학여행의 공급업체를 여행사에서 지자체로 바꾸자는 것이다. 최근 지자체는 인구유입 혹은 기업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수학여행 유치 역시 지역경제나 홍보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지자체들은 수학여행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