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뉴스+]이상고온에 물고기 떼죽음 당해도…대책 손놓은 서울시

김기덕 기자I 2021.08.10 11:00:00

기록적 폭염에 서울 하천 평균 최고수온 3.1도↑
구로구 목감천·송파구 장지천 등 물고기 폐사
수질측정소 5곳 불과…소하천 수온 측정도 못해
연초 연구용역 계획에도 미포함…중장기 계획 고려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이 기사는 이데일리 홈페이지에서 하루 먼저 볼 수 있는 이뉴스플러스 기사입니다.

지난달 서울 지역 소하천에 해당하는 구로구 목감천과 송파구 장지천에서 물고기 떼죽음 사고가 발생했다.

이상고온에 물고기 떼죽음 당해도...대책 손놓은 서울시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목감천에서는 잉어 등 30여마리, 장지천에서는 붕어 등 400여마리가 한꺼번에 폐사하는 끔직한 일이 벌어졌다. 기록적인 폭염으로 수온이 급격히 상승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물고기 폐사 이후 목감천과 장지천 수온을 측정한 결과 각각 32.5도, 31.8도를 기록했다.

올 7월 기록적인 폭염으로 물고기 폐사 사건이 나타난 구로구 목감천과 송파구 장지천.(서울시 제공)


최악의 여름철 폭염으로 서울 지역 하천의 수온이 급상승하면서 물고기 등 생태계 안전에 적신호가 켜졌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강·하천이 어류, 미생물 등이 살 수 없는 취약한 수생태계 환경으로 변모하고 있지만, 관리주체인 서울시는 “당장 대안이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 하고 있다. 이미 올 초 수백억원을 들여 하천 등 수질 환경 개선 관련 용역을 발주했지만, 하천 이상고온 관리 문제는 쏙 빠져 예고된 인재(人災)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9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7월 서울 지역 하천의 평균 최고 수온은 예년(1994~2020년 평균)에 비해 최대 3.1도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최고 수온은 하루 중 최고 수온(시간 평균)의 평균 값을 말한다.

현재 서울 지역에는 한강 본류에 해당하는 노량진과 선유도를 비롯해 지천에 해당하는 중랑천, 탄천, 안양천 등 5곳에서 실시간 수질 자동측정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 곳에서 수온, pH, 부유물질 등 다양한 수질 항목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으로 관련 데이터를 넘기면 이를 서울시가 최종 전달받아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서울시에서 운영 중인 5곳의 실시간수질측정소에서 측정한 평균 수온.
현재 설치된 수질측정소 5곳에서 평균 수온을 측정한 결과 서울시 한강본류의 경우 올 7월 평균수온이 2.2~2.3도 높아졌으며, 한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심이 얕고 유량이 적은 지천은 2.2~2.8도 상승했다. 특히 안양천의 경우 평균 최고 수온이 31.2도로 나타나 폭염이 극심했던 1994년 이후 2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지역 기후환경 분야를 연구·분석하는 보건환경연구원은 여름철 폭염으로 하천 수온 상승 문제를 인지하고 있지만 딱히 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다. 현재 설치된 기존 5곳 외에는 실시간으로 하천 수온을 체크할 수 있는 관측소가 없는데다 실제 하천 수질이나 물순환 관련 문제는 서울시 차원에서 대책이 이뤄지기 때문이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하천 수온이 높아지면 조류나 미생물, 어류 등과 같은 생물의 물질대사와 호흡률이 빨라지고, 산소의 용해도(DO)가 감소되는 등 하천생태계가 악화될 수 있다”며 “사실상 소하천의 경우 실시간 수온 체크장치가 없어 일일이 측정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수온 측정 인프라 부족, 처리 방법 연구 용역 등을 이유로 내세워 당장 대책을 수립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한다. 서울시 물순환정책과 관계자는 “(물고기 폐사 관련)특별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물 수온 측정 관측소를 점차 늘리고, 그 결과를 가지고 수온을 낮출 방법이나 대책을 연구해야 한다”며 “소하천 인근 유출 지하수나 하수처리장 방류수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당장 연구용역이 발주해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올 초 수질관리 강화와 쾌적한 하수환경 조성을 위해 총 사업비 246억원을 들여 31건의 용역을 발주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용역에는 하수 오염물질 유입 문제, 지하수 보조관측망 관리 개선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다만 여름철 수온 상승과 관련한 하천생태계 관리 문제는 연구용역 과제에 포함되지 않았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