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르면 응답자(211명) 중 73.2%가 우리 경제가 장기간 1~2% 수준의 저성장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 2%대에 진입하고 2025년부터 평균 3%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응답은 14.4%, ‘우리 경제가 빠르게 회복해 내년부터 평균 3%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응답은 1.4%에 그쳤다.
|
최근 1300원 수준으로 오른 원·달러 환율이 안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는 ‘2024년 하반기’(32.7%) 또는 ‘2025년’(30.8%) 등이 꼽혔다. 또한 환율에 대해 ‘기존 범위에서 안정화되지 않고 변동 범위 자체가 상향 조정될 것’이라는 응답도 26.0%로 비교적 많았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에 대해서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기준금리를 당분간 현행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는 답변이 61.1%로 가장 많았다. 올해 2월 이후 기준금리가 3.50% 수준에 머무는 것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 외에도 ‘가계부채 관리, 자본유출 방지, 고물가 억제 등이 더 시급하므로 기준금리를 더 인상해야 한다’고 보는 이들이 25.6%, ‘소비 촉진, 투자 활성화 등 경기 부양과 성장 제고를 위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이들이 13.3%로 각각 나타났다.
우리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에 도달하는 시기를 ‘2025년’으로 보는 사람이 37.0%로 가장 많았다. 법인세제에 대해서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고세율을 현행(24%) 수준보다 낮춰야 한다는 응답이 66.1%로 가장 많았다. 다만 전문가 중 29.7%는 ‘장기적으로는 더 인하하되, 당분간은 현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고 말해 현 재정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
또한 상속세 최고세율을 낮추거나 폐지하고 자본이득세로 전환해야 한다는 응답은 70.6%로 많았다. 구체적으로는 ‘상속세를 폐지하고 자본이득세로 전환해야 한다’는 응답이 33.2%, ‘상속세 최고세율을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이 37.4%로 각각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