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과 안전, 재난, 디지털 행정 등 도시 전반에 걸쳐 스마트 체계를 도입함으로써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도시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마련했다.
경기 고양특례시는 2023년 국토교통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이 지난 2월 말 ‘2025년 1차 중앙투자심사’에서 통과되면서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
우선적으로 시는 안전, 교통, 디지털 행정 전반에 걸쳐 스마트 도시 기능을 집중 추진한다.
시민 안전 분야에 15억원을 투입해 어린이보호구역, 여성안심귀갓길 등 범죄 취약지역에 지능형 CCTV 335대를 새로 설치하고 지능형 관제시스템 788대를 추가 구축한다.
이 분야 사업이 완성되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거동이 수상하거나 응급상황을 스스로 감지해 관제요원이 경찰서나 소방서에 출동 요청을 할 수 있다.
교통 분야에서는 법곶IC-일산신협 교차로 등 주요 구간에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 및 고도화 사업을 추진한다.
시민 대상 디지털 접근성 향상을 위해 상반기 중으로 노후된 공공 와이파이 93대를 전면 교체하고 2027년까지 도서관, 버스정류장 등 101개 공공장소에 최신 Wi-Fi 장비를 설치한다.
|
지난 18일 마무리 한 ‘고정밀 전자지도 사업’을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고해상 지형정보를 보유하게 돼 도시개발 시뮬레이션 및 국공유지 관리 등 다양한 행정 업무에 활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고양시 내부 데이터는 물론 국가재난관리 시스템 등 외부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연계해 시정 전반 데이터를 통합하고 시각화해 정책 수립의 효율성을 높이며 재난 상황 시에도 정확하고 빠른 의사결정이 가능해 진다.
|
이동환 시장은 “스마트 기술은 더 나은 도시를 만드는 열쇠인 만큼 AI와 디지털 기술을 행정 전반에 도입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 낼 것”이라며 “효율적인 정책 추진과 함께 안전하고 편리하게 살 수 있는 스마트 도시 고양을 만들기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