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정작 토스는 페이이라는 단어를 입에 담지 않는다. 쉬쉬하는 분위기다. 심지어 자신들의 서비스에 ‘페이’라는 단어도 굳이 넣지 않는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와 직접 경쟁하는 게 아니다”라며 손사래를 친다.
|
지급·결제를 뜻하는 ‘페이’는 핀테크 업계에서 상징성이 큰 단어다. 거의 모든 핀테크 서비스의 시작이 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넓힐 수 있는 확실한 유인책이기도 하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페이 사업부터 시작했다. 자사 쇼핑몰과 거래업체들에 페이를 쓰도록 유도했다. 지난 2013년 네이버와 분할했던 NHN엔터테인먼트(現 NHN)도 핀테크 사업을 시작하면서 간편결제 서비스 ‘페이코’를 출범시켰다. 세계적인 핀테크 업체들의 시작은 모두 간단한 지급결제 서비스였다.
페이 서비스의 장점은 확장성에 있다. 알리페이다 대표적이다. 간편결제에서 시작해 송금, 수신(예금, 충전)으로까지 서비스를 확장했다. 보험과 펀드, 파생상품도 판매하기에 이르렀다. 알리페이는 현재 대출까지 해준다.
‘송금’으로 시작해 1700만 가입자를 모은 토스도 사실 간편결제 서비스를 하고 있다. ‘토스결제’라는 이름의 서비스가 있다. 그러나 실적이 미미하다.
토스결제는 지난 2018년 오픈마켓 플랫폼 11번가에 입점하는 등 일부 성과를 내기도 했다. 대략 4만여개의 가맹점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운영사) 대표가 직접 사용처 확보를 직접 챙긴다는 얘기가 돌 정도다.
하지만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와 비교하면 존재감이 약하다. 네이버페이의 가입자 수는 2200만명, 월간 순이용자 수(MAU)가 1300만명이다. 카카오페이의 가입자 수는 3000만명에, 월간 순이용자 수는 1900만명이다. 오프라인 가맹점도 40만곳이 넘는다. 국내 3호 인터넷전문은행 인가 사업자이자 세계 100대 핀테크 스타트업에 속하는 토스지만, 간편결제 시장에서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와 격차가 크다.
간편결제 시장에서는 오히려 NHN의 페이코가 더 대접을 받는다. 페이코는 포털이나 쇼핑,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없이 오로지 마케팅으로만 사용처와 가입자를 확보했다. 마케팅만 1조원 가까이 썼다는 얘기도 있다. 현재 페이코의 가입자 수는 1000만명, 월간 순이용자 수는 400만명이다.
|
이 대표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와 직접 경쟁하지 않고 결제대행(PG)사업쪽을 진출했다. 이 대표는 때마침 사업을 정리하고 싶었던 LG유플러스의 결제사업부를 3650억원을 들여 인수했다.
LG유플러스는 결제대행사업이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에 결국 밀려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 대표의 생각은 달랐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손대지 못하는 영역에서 차별화된 강점을 보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
토스는 LG유플러스 PG사업부가 보유한 8만 대리점과 영업 네트워크 등을 모두 흡수했다. 토스 입장에서는 네이버의 검색·쇼핑, 카카오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과 비견할 수 있는 사용처를 확보하게 된 셈이다.
110여개 결제대행 업체가 난립하는 가운데 LG유플러스의 PG사업부는 KG이니시스, KCP엔에이치엔한국사이버결제(NHN PG 자회사)과 함께 국내 PG 시장의 60%를 과점하고 있었다. 여전히 결제대행회사를 통한 결제 금액 규모도 매우 크다. 지난해 국내에서 결제대행사를 통한 결제금액은 326조원에 달한다.
토스는 본격적인 결제대행을 통해 차근차근 실력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토스 관계자는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와의 사업 영역이 다르다”면서 “앞으로 확장은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