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8~12일 재계·학계·금융업계 전문가 6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12월 물가상승률을 평균 5.25%로 예상했다. 10~11월 비슷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이는 1991년 초 이후 최장기 5%대 물가상승률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WSJ는 설명했다.
응답자들이 전망한 내년 6월 인플레이션 전망치 평균 값은 3.4%로 집계됐다. 내년 말에는 평균 2.6%로 추세적으로는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발생하기 전 10년 평균인 1.8%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치라는 진단이다.
대다수 경제학자들은 상품 수요가 급증하며 공급 부족을 야기했다면서, 공급망 병목이 인플레이션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다이와캐피털 아메리카의 마이클 모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공급망 병목, 노동력 부족, 완화적 통화·재정 정책이 혼합된 퍼펙트 스톰”이라고 평했다.
아울러 응답자 중 절반은 공급망 문제가 향후 12~18개월 동안 경제성장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응답자 중 45%는 내년 하반기에, 40%는 하반기 이전에 공급망 병목 현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3분기 미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1%(연율)로 지난 7월 조사 당시 7.0% 대비 절반 밑으로 크게 하락했다. 4분기 성장률도 5.4%에서 4.8%로 낮아졌다.
높은 물가상승률이 미 경제를 지탱하는 소비를 억누를 것으로 보여서다. 비자의 마이클 브라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높은 물가상승률이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을 낮추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 지출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2022년과 2023년 성장률 전망치는 3.6%, 2.5%로 각각 직전 조사 때보다 소폭 상향됐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업체 KPMG의 콘스탄스 헌터 수석 이코노미스트 는 “2022년은 여러 가지로 복잡한 해가 될 것”이라며 “경제 성장은 매우 강하겠지만 기업과 소비자들이 고물가 시대를 헤쳐나가기엔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경제 전문가들의 예측대로라면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인플레이션 통제를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WSJ는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도 이코노미스트 5명 중 3명은 연준이 내년 말까지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답했다. 16%는 내년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전까지 첫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