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8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기소과정의 절차적 오류가 빌미를 줬다”며 “법원과 검찰이 책임있는 자세로 내란을 수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전 총리는 “윤 대통령은 착각해선 안 된다. (윤 대통령은) 민주주의와 법치를 파괴한 장본인”이라며 “석방 직후 모습에 반성은 없다. 우리 공동체를 향한 책임감도 없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남은 재판과정이 걱정스럽다. 헌정질서와 민주주의 회복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역시 “나라와 국민에 충성해야 할 검찰총장이 결국 ‘임명권자’이자 ‘검찰 수괴’에게 충성을 바쳤다”고 수사팀의 반대에도 석방지휘를 강행한 심우정 검찰총장을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풀려난 수괴는 ‘법치’ 운운하며 나라를 더욱 분열시키고 있다”고 윤 대통령을 맹비난하며 “법꾸라지들이 물을 흐릴 수는 있어도 강물을 되돌릴 수는 없다. 봄은 반드시 온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란 단죄, 새로운 나라를 위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자”며 “한 걸음 더 뛰겠다. 끝까지 빛의 연대로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도 “검찰총장과 검찰 수뇌부는 이번 내란의 공범이었음을 스스로 증명했다. 검찰을 왜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하는지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검찰은 결코 국민의 심판을 피해 갈 수 없다”고 성토했다.
그는 “윤석열이 법원과 검찰의 어이없는 결정으로 잠시 풀려나왔다한들 헌법재판소와 역사의 탄핵을 피해 갈 수는 없다”며 시민의 단결된 힘으로 내란의 어둠을 몰아내고 탄핵을 지켜내자“고 밝혔다.
그러면서 ”압도적 정권교체로 한국사회를 뿌리부터 개혁해 나가자. 결코 물러설 수 없는 싸움을 모두 함께 시작하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