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명을 요구한 한 소식통은 조 바이든 행정부가 며칠 내 발표할 예정인 행정명령의 투자 제한 대상이 양자컴퓨터와 AI 등 첨단 부문에서 매출의 절반 이상을 얻는 중국 기업으로 제한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미 정부가 이날 행정명령을 발표할 것이라는 일부 보도가 있었으나, 최종 발표는 수일 뒤로 미뤄질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대중 투자 제한 행정명령에 매출 비중에 대한 조항을 두면, 미국 사모펀드와 벤처 캐피털 등은 AI 등 첨단기술 부문보다 다른 부문에서 얻는 매출이 더 큰 중국 대기업에는 계속 투자할 수 있다. 하지만 사업 다각화를 하기 전 초기단계인 기술 스타트업은 투자 제한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수익 대부분을 몇 가지 기술 분야에서 얻는 데다, 구체적 수입원에 대한 검증도 쉽지 않아 미 투자자들이 투자를 꺼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스타트업의 기술이 미국 기술을 앞지르는 것을 미국 자본이 도와선 안 된다는 것이 미 정부의 생각”이라며 “초기단계 스타트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도록 한 것은 미 정부의 의도적인 조치”라고 진단했다. 기술 개발 최전선에 있는 스타트업의 돈줄을 틀어막아 중국의 혁신을 제한하겠다는 게 미 정부의 전략이란 설명이다.
아울러 중국 인민군이 최종 사용자가 될 수 있는 AI 기술에 대해선 투자가 전면 금지되며, 기타 AI 기술은 투자시 당국에 통지 의무가 부과될 전망이다. 소식통들은 이번 행정명령이 새로운 투자에만 적용되며, 1년의 유예기간을 두고 업계 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발효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이 기간 동안 이뤄진 투자에 대해선 행정명령을 소급 적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미 정부가 대중 투자 제한 조치의 범위를 당초 예상보다 축소한 것은 최근 고위급 대화를 재개하며 해빙된 미·중 관계에 대한 영향을 의식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지난달 “이 행정명령은 ‘좁은 범위’에 적용될 것이며 중국의 투자 환경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기로 결심했다”며 “그는 이 행정명령의 범위를 좁혀 중국과의 관계를 손상시켜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려 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