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국회 국토교통위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10대가 올해 1~5월 서울에서 보증금 승계 또는 임대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한 것은 69건으로 집계됐다. 1년 전(7건)과 비교하면 10배 가까이 급증한 것이다. 소득이 없는 10대가 주택구매를 한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이들이 갭투자로 집을 산 것은 부모에게 종잣돈을 증여받고 나머지는 전세 보증금으로 충당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패닉바잉’ 열풍 등 주택구매 수요가 늘자 자녀에게 집값의 일부를 증여한 뒤 주택을 구매하게 했거나 자녀 이름을 빌려 갭투자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에서 10대 갭투자 건수는 1월 12건, 2월 11건에서 정부의 2·4 대책 이후인 3월에는 7건으로 소폭 내려갔지만, 4월 18건, 5월 21건으로 증가 추세다.
서울에서 10대의 갭투자는 아파트보다는 빌라같은 비아파트가 훨씬 많았다. 1~5월 10대의 서울 비아파트 갭투자는 61건으로 10대 서울 갭투자의 88.4%에 달했다. 10채 가운데 9채가 비아파트였던 셈이다. 주택가격이 치솟고 대출도 막히자 고가의 아파트보다 저가 빌라투자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에서도 올해 1~5월 10대 갭투자는 98건에 달했다. 작년 동기 경기도 10대 갭투자는 1건에 불과했다.
10대의 갭투자는 36건으로 이 중 아파트는 19건, 비아파트 17건이었다. 작년 같은 기간 인천에서는 10대의 갭투자 자체가 없었다.
지방 광역시에서도 부산과 대구 등 집값이 오르는 지역을 중심으로 10대 갭투자가 늘어났다. 부산과 대구 모두 작년 1~5월에는 10대의 갭투자가 한 건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