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청년가구(만 19~34세 청년이 있는 가구)는 737만9000가구다. 전체 가구 수에서 36.3%를 차지한다.
|
최근 10년새 청년가구 소득은 양극화돼왔다. 2010년 청년가구에서 중소득층 비율은 53.9%였지만 2020년엔 41.0%로 줄었다. 대신 저소득층은 23.3%에서 31.2%로, 고소득층은 22.8%에서 27.7%로 늘었다. 1인 가구 사이에선 저소득층 비율이 2020년 기준 75.1%에 달했다.
소득이 양극화하면서 청년층 사이에 주거취약계층도 늘고 있다. 박미선 국토연구원 주거정책연구센터장은 주거취약계층에 속한 청년가구가 많게는 181만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주거비 부담이 과다하다고 생각하면서 △실제 RIR(소득에서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30%가 넘고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주택이나 지하·반지하·옥탑방·고시원 등에 사는 최악의 경우만 해도 2만1000가구에 달한다. 이 중 다수가 수도권에 사는 1인 가구다.
박 센터장은 “청년가구의 가구형태별 주거 여건에 따라 정책 대상과 집중할 정책 영역을 명확히 하고 민간 임대차 시장의 약자인 청년의 주거비부담 완화, 기준 미달 완화, 임대차 불안 완화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상대적으로 주거난에 취약한 수도권 1인 가구 청년에게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는 뜻이다.
실제 정책 수요 조사에서도 1인 가구는 원하는 주거 지원 정책이 다른 청년 가구와 달랐다. 청년 가구 전체론 ‘주택 자금 대출 지원’을 원한다는 비율이 33.7%로 가장 높았지만 1인 가구에선 ‘전세 대출 지원’을 원하는 응답자(43.2%)가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