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씨는 2022년 8월 서울 용산구 임야 245㎡의 지분 절반을 취득한 뒤 그해 11월 인접한 서울시 소유 임야 22㎡를 5년간 사용하게 해달라고 신청했다.
해당 토지는 남산공원 보행로와 옹벽, 녹지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A씨는 이를 통행로로 변경한 뒤 자신이 보유한 땅을 개발할 계획으로 파악됐다.
시유지를 관리하던 서울중부공원여가센터는 그해 12월 불허 처분을 내렸다.
당시 센터는 “사회적·생태적·경제적으로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위해 산림녹지로 유지·관리하고 있다”며 “신청인의 사권(개인적 권리)을 위해 통로(도로)로 구조 및 형질을 변경하는 것은 조례에 어긋난다”고 밝혔다.
당시 -A씨가 불복해 소송을 냈으나 법원의 판단도 마찬가지였다.
재판부는 “토지를 사용 허가할 경우 A씨는 자기 소유 토지로의 통행을 위해 옹벽을 철거하고 평탄화 작업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 경우 경사면의 토사가 유출돼 보도의 용도와 공원의 관리목적을 해칠 것이 우려된다”고 판시했다.
“해당 신청이 행정재산의 구조와 형질을 변경해 해당 지역의 공익적 사용 목적 및 행정재산의 사용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본 센터의 판단이 객관적으로 불합리하다거나 사회 통념상 현저히 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A씨는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