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평균 근로소득은 4213만원이었는데, 1년 전과 비교하면 2.8% 늘어난 것이다. 이는 코로나19가 한창이었던 2020년(2.3%)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근로소득 증가율은 2021년 5.1%까지 확대됐다가 2022년(4.7%)에 이어 2023년 2.8%로 2년 연속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는 지난 최근 10년간 평균 증가율(3.6%)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근로소득자의 월급이 2년째 둔화한 반면 물가는 크게 뛰었다. 지난 2023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에 달했다. 2022년 5.1%에 이어 2년 연속 큰 오름폭을 이어간 것이다. 지난해 물가 상승률은 2.3%로, 2년 연속 오름폭을 줄이고는 있지만 최근 고환율 여파로 인해 연초 물가가 작년 연말보다는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물가보다 월급이 적게 오르면서 근로소득과 소비자물가 간 상승률 차이는 지난해 -0.8%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0.4%포인트였던 지난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 흐름이다. 근로소득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밑돈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2.0%) 이후 2022년이 처음이었는데, 지난 2023년에는 2022년보다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이다. 임금보다 물가가 크게 오르면 실질 구매력이 떨어지고, 체감하는 어려움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고소득 근로자일수록 혜택은 더 컸다. 근로소득자 중 최상위 0.1% 구간에 해당하는 인원은 2만 852명으로, 이들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9억 6004만원이었다. 이 구간의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3억 3290만원으로, 1년 전보다 5.2%(1836만원) 감소했다.
특히 중위 50% 소득 구간 인원 20만 8523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302만원이었다. 이 구간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29만 2054원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해 오히려 늘어나는 모양새였다.
임광현 의원은 “2085만명에 달하는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약해지고, 물가를 고려한 실질소득 마이너스 폭은 더욱 커지고 있다”며 “근로소득자의 소득향상을 지원하는 조세·재정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