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환으로 로보틱스 업계 최고 전문가 4인을 영입하고, ‘휴머노이드 및 피지컬 AI 개발을 필두로 글로벌 로보틱스 시장 공략’이라는 미래 비전 아래 중장기 첨단 로보틱스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했다.
차세대 로보틱스 기술 선도를 위해 노경식 연구소장을 영입했다. 그는 카이스트(KAIST) 박사 출신으로 총 35년 이상의 로보틱스 경력 중 27년을 삼성전자 로봇 개발부서에서 근무했다. 노 연구소장과 함께 합류한 로봇 전문가 3인(권영도·한정헌·이동훈 연구임원)도 삼성전자 휴머노이드 로봇들(마루, 로보레이)을 개발했고, 이후 수술로봇과 웨어러블 로봇 등 미래 기술 확보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유일로보틱스는 이번 연구진 영입을 계기로 미래 로봇 기술의 새 시대를 열기 위한 대대적인 도약에 나선다. 새롭게 확장된 연구소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과 피지컬 AI 기술을 접목한 모빌 듀얼 암(Mobile Dual Arm) 시스템 개발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미래 로봇 산업의 패러다임을 선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존 산업용 및 협동로봇의 성능을 글로벌 톱 수준을 넘어서는 기술력으로 끌어올리고, 로봇 제품군을 전방위로 확대하는 한편,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고도화를 통해 산업 자동화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연구개발 인프라로 유일로보틱스는 오는 4월, 청라에 신사옥을 신설한다. 약 2644 규모의 3개 층 전용 공간으로 구성된 독립 연구소는 개발과 실험이 동시에 가능한 최첨단 환경으로 조성되며, 이를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을 갖추고 본격적인 미래 로봇 기술 개발에 나선다. 추가적으로 국내외 우수한 석·박사급 인재를 적극 영입하고, 로보틱스ㆍAI 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 기술을 만들어낼 계획이다.
김동헌 유일로보틱스 대표는 “청라 신사옥과 연구소 신설, 세계 최고 수준의 로보틱스·AI 전문가 영입을 통해 미래 로봇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시장을 본격 공략하겠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로봇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