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강달러 이어진다…한은 조기 금리인하 어려워질 수도"

김인경 기자I 2024.11.15 07:43:54

iM증권 보고서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미국 대선 이후 강달러 현상이 두드러지며 원화 추가 약세 가능성 역시 커지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미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 진입했지만 상승 압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 한국은행의 조기 추가 금리인하 역시 어려워질 수 있다는 평가다.

15일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 대선 이후 달러 강세가 더욱 탄력을 받으면서 달러화 지수는 1년내 최고치를 기록했다”면서 “트럼프 트레이드, 미국 경제의 예외주의 현상 강화에 더해 ‘금리인하를 서둘러야 할 신호가 없다’라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 발언 등 달러 강세가 재료만이 부각되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트레이드 효과로 급등하던 미국 국채 금리가 4.4%대에서 숨고르기를 보이면서 다소 상승세가 진정될 것 같았던 달러지수는 파월 의장의 발언 이후 다시 급등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현재 우리가 미국 경제에서 보고 있는 강함은 (통화정책) 결정을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라고 언급하면서 금리인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박 연구원은 “실제로 파월의장의 발언으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동결 확률은 약 38% 수준까지 급등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파월 의장이 밝힌 바와 같이 4분기들어서도 미국 경제는 여전히 견조한 추세를 보여주고 있는데 애틀랜타 연준의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추정치는 11월 7일 기준 전기 대비 연율 2.5%”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강한 고용시장이다. 지난주 신규 주간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시장예상치 22만건을 하회하는 21만 7000건을 기록했다. 그는 “강한 고용시장 흐름은 4분기 미국 성장률이 기대보다 높을 수 있음을 예고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 연구원은 “이처럼 미국 경제 예외주의라고 표현되는 경제 성장세와 더불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강한 랠리를 보여주고 있는 미국 증시는 글로벌 자금의 달러 자산 선호 현상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현재 달러 강세 현상이 단순히 트럼프 트레이드 기대감뿐만 아니라 글로벌 자금의 달러자산 선호 현상이 맞물려 있음을 고려할 때 강달러 기조가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유로에 대한 투기적 순매도 포지션 규모가 확대되는 동시에 엔화에 대한 투기적 포지션은 순매수에서 순매도 전환됐다. 즉, 유로 및 엔화에 대한 추가적 약세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는 시그널이다.
박 연구원은 “파월 의장 발언에도 불구하고 미 연준이 12월에도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면서 “미국 경제 호조와 끈적거리는 물가 추이에도 불구하고 성장률 수준을 고려할 때 현 기준금리 수준은 제약적 수준이기 때문”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연준이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현 강달러 현상을 크게 누그러뜨리지는 못할 공산이 큰 게 문제다. 그는 “강한 경제 펀더멘탈을 의미하는 미국 경제 예외주의 현상 지속과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 등은 글로벌 자금의 달러 자산선호 현상을 당분간 지지할 것이기 때문”이라며 “일례로 트럼프 당선인의 정권인수팀은 감세 공약의 재원마련 차원에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한, 최대 7500 달러 규모의 전기차 보조금의 폐지를 계획하는 등 레드 스윕을 기반으로 트럼프 대통령 공약이 빠르게 추진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달러화 추가 강세를 예상하는 이유는 트럼프 관세 정책 등 정책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주요국이 자국 통화 가치의 절하를 어느 정도 용인할 가능성”이라며 “유로 및 엔화 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 중이고 위안화 가치 역시 가파른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중국 정부가 내수 경기 회복을 위해 추가 지준율 및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여지가 크다는 점은 위안화 추가 약세이고 관세 충격 완충 차원에서도 위안화 추가 하락이 불가피해 보이는 상황이다.

박 연구원은 “결국 1400원대에 이미 진입한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압력도 커질 것”이라며 “환율 불안은 한은의 금리결정에도 큰 부담을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 이행 여부에 따라 내년 국내 경기 하방 리스크가 커질 수 있는 상황으로 즉 1%대 초반 수준까지도 성장률이 하락할 잠재적 위험이 커지고 있지만 환율 불안이 한은으로 하여금 조기 추가 금리인하를 어렵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