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통상환경 역시 매우 혼란스럽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한다. △미-중 경쟁 고조 △주요국의 경제안보 기조 강화 △디지털 및 그린 전환 등으로 인한 공급망 재편이 예상되며, 최근 확대되고 있는 △경제제재 및 수출통제 △보조금 등 산업육성정책도 글로벌 공급망 교란 및 분절화 현상을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및 그린 전환 관련 법들이 올해 시행됨에 따라 관련 규범의 변화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은 이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 과제로 우선 세계 각 지역의 경제성장률을 고려한 차별화된 수출전략을 세우고 올해도 지속될 지정학적 리스크, 세계 3대 경제권의 경기불안 상황, 에너지 위기 등을 상시 모니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경제안보 강화 추세 속에서 복원력 있는 공급망을 확보하고 해외 및 국내 투자 전략을 재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 중층적 협력체제를 구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수출통제 및 경제제재 확대에 따른 공급망 실사 강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인권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 경제제재 및 수출통제 대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을 면밀히 검토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도체, 배터리 등 미래 전략 산업에 대해서도 정부 지원 확대를 요청하고, 주요국의 보호주의적 산업육성정책을 검토해 우리 기업의 현지 투자 및 수출 확대를 추진해야 하며, 미국과 EU는 물론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들에서 추진되는 각종 입법 및 이행 동향과 우리 기업에 대한 영향을 상세히 파악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끝으로 디지털 및 그린 전환 관련 주요국의 규범 변화와 국제적 논의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관련 기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개발 확대, 인프라 구축, 전문인력 양성 등 미래지향적인 투자 확대를 위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장 국제통상연구원이 발간한 이슈브리프는 광장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