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순영 카톨릭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는 21일 YTN라디오 ‘출발새아침’과의 인터뷰를 통해 “유충 때문에 구충제를 먹을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
이어 “유충도 결국은 단백질인 영양원으로 가기 때문에 문제는 없지만 염려돼서 구충제를 드시는 분도 있는데, 그렇게까지 갈 염려는 없다. 유해, 무해의 문제가 아니고 그것을 알고서 심리적으로 쓸 수 없는 물이 돼버린 상황이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수돗물에서 발견된 유충이 피부염이나 균을 전파할 가능성은 극히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백 교수는 “성충이 몸에 접촉했을 경우 알레르기성 피부염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성충은 2~3일, 길어야 4일 정도 살고 사멸하는데, 이 사체들이 건조되고 분말이 돼 공기 중에 떠다니며 꽃가루랑 비슷한 상황이 됐을 때 사람들의 호흡기에 들어오게 되면 알레르기성 천식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유충의 경우 그런 연구가 거의 없다. 유충이 많은 양이 있는 것이 아니고 몇 마리가 만약 우리 몸에 접촉됐다고 할지라도 이 영향은 상당히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수돗물 유충 사태가 인천에 한정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며 전국적인 현상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작년 적수 수돗물 때문에 인천의 정수장, 특히 공촌정수장에는 고도 정수시설을 마련했다. 거기서 활성탄 여과지, 한 단계 더 나아가면 오존처리를 해야 하는 것인데 오존처리는 돼 있지 않았고, 그 뒤에 붙이다 보니까 여과지가 개봉된 상태로 만들어졌다. 활성탄 여과지는 최종 단계에 있으면서 조금 밀폐된 상태로 돼서 곤충 등이 접근하지 못하게끔 적어도 방충 정도는 해야 했는데, 그 부분이 안 돼 있었기 때문에 공촌정수장의 경우 유충이 활성탄 안에 들어가서 가정의 수도수까지 갈 수 있는 확률이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또 “조사를 해보니 정수장에 있었던 물에 있는 유충과 가정에 있는 유충들이 같은 종류였다고 하니 인과관계가 확실하다. 다만 문제는 부평정수장은 고도 정수처리와 오존처리를 하고 있고, 밀폐된 상황인데도 사체가 발견됐다. 정수장, 배수지에서 발견됐다는 건 설명이 안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관리가 잘못된 부분이 분명히 있는 것이다. 면밀한 조사를 해서 원인을 확실히 밝혀내야만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유충이 정수장에서 걸러지지 않고 가정집 수돗물까지 도달한 것에 대해 백 교수는 “일반적으로 그럴 수 없는 일이다. 아무리 최종 단계라고 할지라도 배수지 다음 단계에도 여과 장치가 있기 때문에 수돗물까지 가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인데 관리가 잘못된 부분들이 있다. 공촌정수장의 경우 운영에 있어서도 상당히 잘못된 부분들이 있었다. 더 전문성 있는 인력들이 잘 관리해야 하는데, 공무원들이 자꾸 (인사) 이동하기 때문에 전문성이 생기기가 어려워 이 부분이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