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에 따르면 이날 참석자들은 △지역 특화 양성평등정책 발굴 △여성 일자리 여건 개선 △노인여성·1인가구 등 인구특성별 정책 개발 △여성폭력 대응체계 강화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조양순 충남여성정책개발원 원장은 “8개 부처 양성평등전담부서 및 지역양성평등센터 설치로 성평등 정책추진 기반을 마련한 것은 성과”라며 “지자체에서도 양성평등전담부서와 전문가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금숙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원장은 “내년도 제3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 수립시 각 시·도 여성정책연구기관과의 간담회 등을 통해 각 지역의 특성과 의견을 반영해달라”고 제안했다.
정정옥 경기도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뿐 아니라 여성폭력방지정책 기본계획, 1325호 국가행동계획 수립 시 전국여성정책네트워크와의 공조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성평등 임금공시제도 법제화, 성·재생산 권리보장 기본법 제정 필요성 등을 공유했다.
서미경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 원장과 김미경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성평등조례 제정 반대 움직임 등 지역에서 경험하고 있는 양성평등정책 추진의 어려움을 공유하며 “지역특성에 기반한 지역양성평등센터가 보다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오경은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원장은 “출산·육아에 따른 경력단절은 성별임금격차 주요 원인으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청년여성의 열악한 고용상황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민무숙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원장은 ‘30대 청년여성과 전문직 여성 등 세대별·대상별 직업훈련 전문화’를, 이미영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원장은 ‘성평등 노동지원센터 설치’를. 하금숙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원장은 ‘메타버스에 기반한 여성의 취·창업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안했다.
정 장관은 “양성평등이 지역에 뿌리 내리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의 연계와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성평등하고 안전한 사회조성을 위해 현장과 소통하며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