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원전 26기에서 쓰고 버린 사용후 핵연료를 비롯한 고준위 방폐물 처리 문제는 한국 사회가 오랜 기간 풀지 못한 시급한 과제다. 1970년대 첫 원전 가동 이후 쌓인 50만여 다발의 사용후 핵 연료가 각 원전 인근 시설에 임시 저장돼 있으나 2030년대 이후부터 차례로 포화 예정이다. 1980년대 이후 진행한 고준위 방폐장 부지 마련 추진은 후보지의 반발로 번번이 무산돼 40여년째 해결 못 하고 있다. 정부는 2016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고준위 방폐물 기본계획을 수립했으나 관련 절차를 37년에 걸쳐 진행한다는 원론을 세웠을 뿐 아직 실제 착수하지는 못했다. 이대로면 국내 전력공급의 약 30%를 저비용에 공급하는 원전 가동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친원전 정책을 내건 윤석을 정부는 그 어느 때보다 이 문제 해결에 적극적이다. 올 5월 출범과 함께 이 문제 해결을 위한 고준위 방폐물 특별법 제정을 국정과제로 확정하고 7월 이에 필요한 기술 개발 계획을 담은 고준위 방폐물 연구개발 기술로드맵 안을 만들었다. 이르면 내년 중 4년여에 걸친 부지 선정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안내서 역시 고준위 방폐장 부지 선정에 앞서 전 국민과 각 지방자치단체(지자체)가 고준위 방폐물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돕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이 책자는 산업부 홈페이지(정책·정보-간행물)이나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홈페이지(방폐물 관리사업-고준위 방폐물 관리-정보광장)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전국 도서관과 국회, 각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계기관에도 단행본을 배포하며 홈페이지로 추가 신청도 할 수 있다. 산업부와 공단은 이 책자와 함께 고준위 방폐물 관리 특별법 제정 필요성을 다룬 소책자 ‘고준위 방폐물 관리 특별법, 국민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합니다’도 공개했다.
이창양 산업장관은 “1978년 고리 원전 1호기 가동 이후 원전의 혜택을 누려 온 우리 세대가 결제해지한다는 마음으로 (고준위 방폐물 처리 문제의) 첫걸음을 떼야 할 시점”이라며 “안내서가 이에 도움을 주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