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CNBC는 공급망 전문가들을 인용해 미·중 무역 전쟁으로 최근 미국 기업들이 컨테이너 수출을 전면 중단했으며 중국발 화물 주문 취소, 이미 중국에서 선적된 화물 방치 등이 일상화됐다고 보도했다.
|
미 물류기업 세코 로지스틱스의 브라이언 보크 최고운영책임자(CCO)도 “동남아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지난 9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 이후 주문이 다시 시작됐다”면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주문 취소는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해상 운송업체 OL USA의 앨런 베어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관련된 비즈니스는 거의 모든 것이 보류된 상태”라고 말했다.
싱크탱크인 택스파운데이션의 경제학자 에리카 요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45% 관세는 미·중 간 대부분 무역을 중단시킬 것”이라면서 “대체재가 없어 기업이 비용을 부담하고도 수입하는 제품이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은 사실상 수입이 중단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부 기업들은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피해 베트남이나 인도 등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율을 125%로 인상해 종전의 20% 대중 보편관세까지 더하면 중국에 대한 미국의 총 관세는 145%에 달하기 때문이다.
머피 CEO는 “전자, 기계, 의료 장비, 제약처럼 마진이 높고 기술력을 요하는 상품은 제조 설비 구축에 시간과 상당한 자본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기지를 쉽게 이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이 같은 관세 정책을 이어간다면 미국 중소기업의 피해가 극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의류·신발 협회(AAFA)의 CEO 스티븐 라마르는 “높은 관세와 갑작스러운 정책 변화가 코로나19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으로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면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엄청나게 높은 관세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주문을 취소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높아진 비용은 중소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위험이나 부담이 아니”라면서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갑작스러운 주문 취소는 즉각적인 판매 저조와 광범위한 제품 부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향후 앞으로 몇 달 동안 이 같은 혼란이 안정되는 데 몇 달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세 미지급, 통관 지연 등으로 방치된 화물도 늘어나고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정치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민주, 매사추세츠)은 이날 CNN 방송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혼선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가지고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red light, green light) 게임을 하고 ‘내 특별한 후원자들에겐 특별 면제를 줄게’라고 말하고 있을 때 투자자들은 미국에 대한 투자를 접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