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올해 상용 표준물질 개발사업에 136억원을 투입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20억원을 투입해 소부장 경쟁력 강화 대책과 연계해 △반도체 공정용 불화수소 표준가스 △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용 박막두께 표준물질 등 일본 수출규제 대응에 필요한 표준물질 40종 개발을 시작했다.
올해는 이들 표준물질 40종에 대한 개발을 연내에 완료하고 K-방역 산업 등의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전략 표준물질 12종에 대한 신규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감염병 진단용 물질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무계면활성제 유화 물질 등 신산업 분야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전략 표준물질 개발을 본격 시작한다.
감염병 진단용 표준물질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등 감염병 체외진단에 사용하는 표준물질이다. 진단키트 정확도와 정밀도를 향상해 K-방역 진단 제품 경쟁력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차전지 양극활물질은 정량의 불순물 함유량을 측정하고 불순물 최소화를 통해 이차전지 품질을 높여줄 수 있다. 무계면활성제 유화 표준물질은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을 활용해 인체 내 지방 함량에 따른 질병 유무 판단 시, 영상기기 정밀도 개선에 사용한다.
정부는 그동안 표준물질 개발이 시험·인증기관의 자체 시험·분석용 가스분야에 치중했던 것과 달리 올해 사업은 첨단소재·의료 등 전 산업에서 중요시되는 전략 표준물질 개발 등을 통해 관련 산업 생태계가 조성되는데 초점을 뒀다.
국가기술표준원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등과 협력해 국내 표준물질 생산 기관·기업의 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개발된 표준물질의 국내외 유통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표준물질은 소부장 품질과 성능 측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첨단산업의 미래를 좌우하는 산업 경쟁력의 원천”이라며 “상용 표준물질을 국산화해 무역 안보역량을 강화하고 국산 표준물질의 해외 수출도 적극 지원해 수출상품으로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