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애플, 인도서 트럼프 관세 회피 모색…"추가 투자도 검토"

방성훈 기자I 2025.04.10 08:02:50

아이폰 美운송 위한 항공편 늘려…"최소 10편 이륙"
소식통 "생산시설 확대 위한 추가 투자도 검토중"
인도 생산분 美로 전량 돌릴듯…"장기 해결책은 아냐"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애플이 인도에서 미국으로 아이폰을 운송하기 위한 항공편을 늘리는 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에 맞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인도에서 찾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애플 로고(사진=로이터)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를 90일 간 유예하고 기본관세인 10%만 부과하기로 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50% 관세를 추가로 부과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는 기존 54%에서 104%로 높아졌다. 이후 중국이 보복 조치를 취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율을 104%에서 125%로 더 높였다.

애플은 첫 상호관세 발표 이후 대응에 나선 상태다. 인도에 대한 상호관세가 26%로 중국보다 월등히 낮았기 때문이다. 3명의 인도 소식통은 FT에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 발표 이후 첸나이 국제공항에서 최소 10편의 항공편이 이륙했다”고 전했다. 중국에서 아이폰 생산량을 줄이는 대신 인도에서의 생산을 늘려 관세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애플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이후 월가 최대 희생자 중 하나로 꼽힌다. 첫 상호관세 발표 이후 시가총액이 약 7000억달러 감소했다. 이는 중국을 중심으로 첨단 제품 사업을 구축한 애플의 딜레마를 여실히 보여준다는 평가다. 애플은 아이폰의 약 80%를 중국에서 생산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웜시 모한 분석가는 “인도의 아이폰 생산량을 전부 미국에만 할당한다면 매년 미국으로 출하되는 5000만대 이상의 아이폰 중 3000만대를 감당할 수 있게 된다”면서도 “단기적으로 (관세) 영향을 일부 완화하기 위해 노력이지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해결책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2명의 소식통은 “애플이 인도에 추가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도 했다. 다만 관련 움직임은 애플이 아닌 공급업체에서 포착됐다.

애플 공급업체 자빌의 임원인 앤디 프리스틀리는 이날 인도 타밀나두주의 MK 스탈린 주지사를 만났다. 자빌은 지난해 타밀나두주와 시설 확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스탈린 주지사는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이번 회동은 “새로운 사업 투자에 관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을 통해 일부 개별 기업이 상호관세의 영향에서 면제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해 볼 것”이라며 가능성을 시사했다. 애플이 대상이 될 것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이날 애플의 주가는 상호관세 유예 소식만으로도 15% 급등했다.

FT는 “애플은 현재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대중 관세에 따른 즉각적인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의지하고 있지만, 인도에는 제조를 크게 늘릴 만한 공급망이 없다”며 “장기적으로 상당한 관세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품 가격을 인상하거나 추가 비용을 감당할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