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멈춰선 ESS 화재원인 발표 임박…업계 “불확실성 탈출만이 살길”

김미경 기자I 2019.06.06 14:44:36

산자부 조사위 이르면 내주초 결과 공개
재가동 여부 및 피해보상·범위에 ‘촉각’
“묶였던 생산수주 재개될 것” 기대감↑
안전관련 규정 강화로 단가상승 우려도

그래픽=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대한 화재 안전관리 대책과 사고 원인 조사 결과가 이르면 내주 초께 나온다. 잇단 화재로 지난 반년 가까이 ‘올스톱’된 국내 ESS 시장에 불확실성이 해소될 수 있을지 업계 이목이 집중된다.

6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ESS 화재 원인 조사 결과 및 재가동 허용 여부를 내주께 발표할 예정이다. 지난 1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조사위)를 꾸려 60여 차례 넘는 회의와 업계 간담회 등을 거쳐, 무려 6개월여 만에 결과를 내놓는 것이다. 앞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일 조사위의 ESS 화재조사 중간진행 상황을 설명하면서 6월 초 결과를 발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정부 발표가 나와야하겠지만 조사위는 배터리 자체의 직접적인 결함보다는 전력변환장치(PCS),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ESS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럴 경우 ESS 배터리를 생산하는 삼성SDI, LG화학 등 관련 업체들이 사고 책임론의 짐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SS는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장치로, 날씨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확대에 필요한 설비다.

하지만 2017년 8월 전북 고창변전소에서 처음 화재가 발생한 이후 ESS 시설에서 우후죽순 불이 나면서 제동이 걸렸다. 정부의 가동 중단 권고 조치로 지난 4월30일 기준 전국 ESS 사업장 1490곳 중 35%에 달하는 522개가 가동을 멈췄다. 실제 ESS사업을 신사업으로 적극 추진해온 LG화학은 1분기에만 ESS 화재로 1200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다. 삼성SDI, LS산전 등도 수익성이 반토막 났다.

다만 산업부가 화재 원인 및 재가동 여부를 내놓는다고 해도 당장 정상화는 힘들 전망이다. 정부 발표에 따라 ESS와 관련한 설치기준 개정, KS표준 제정, ESS 구성품 KC인증 도입 등이 모두 마무리되려면 늦어도 8월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정부 발표를 앞두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정부의 ESS 안전 규정 강화가 예고된 만큼 이 기준을 맞춰야 하는 업체 입장에선 생산비용이 늘고, 설치단가가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A업체 한 관계자는 “ESS시장 공백기를 틈 타 중국산 제품이 국내에 진입하려는 움직임도 있어 상황이 좋지 않다”면서 “정부 발표가 더 이상 늦춰져선 안된다. 불확실성 해소만이 살 길”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올스톱된 ESS시장이 하루빨리 정상화되려면 특단의 조치가 나와야한다”며 “재가동만 허용되더라도 발이 묶였던 설비 수주와 생산라인이 어느 정도 정상화에 오를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화재조사 결과 및 지원 대책과 관련해선 아직 확정된 바가 없다”고 말을 아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