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숙종 어진 제작 참여 김진여의 '권상하 초상' 등 4건 보물 지정

김현식 기자I 2024.08.22 09:26:16
권상하 초상
[이데일리 김현식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조선 숙종의 어진(임금의 초상) 제작에 참여한 평양 출신 화가 김진여(1675~1760)의 ‘권상하 초상’ 등 4건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권상하 초상’은 송시열(1607~1689) 학문의 정통 계승자로 평가되는 권상하(1641~1721)를 그린 초상화다. 제천의 황강영당에 300년 넘게 봉안된 바 있으며 현재 의림지 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화면 상단에는 ‘한수옹(권상하) 79세 진영’이라고 적혀 있다. 이를 통해 초상화의 주인공이 권상하이며 그의 79세 모습을 그린 것임을 알 수 있다. 오른쪽 중간에는 ‘기해사월일 화사김진여모’라고 쓰여 있다. 숙종의 어진을 그리는 화사로 참여한 화원 김진여가 1719년(숙종 45)에 제작했다는 의미다.

김진여는 전통적인 초상화법이 아닌 부드러운 필선과 선염에 의존하는 화법으로 안면의 볼록한 부분을 밝게 처리해 인물의 입체감과 사실성을 강조했다. 선염은 화면에 물을 먼저 칠하고 마르기 전 수묵이나 채색을 올려 은은한 표현 효과를 내는 기법을 뜻한다.

유설경학대장
국가유산청은 ‘유설경학대장’,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을 보물로 함께 지정했다.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소장 ‘유설경학대장’은 경학의 내용을 종목별로 기록한 유학서다. 과거시험에 출제될 148개 항목의 내용을 요점 정리한 책이다. 중국 명(明)의 주경원이 편찬했으며 상·중·하 3권으로 구성돼 있다.

조선 초기의 금속활자인 경자자(庚子字) 가운데 가장 작은 크기의 소자(小字)로 인출된 판본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경자자는 1420년(세종 2) 주자소에서 동(銅, 구리)으로 만들어진 활자다. 조선 초기의 인쇄사 및 서지학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경자자 중에서도 소자로 본문 전체를 인쇄한 것으로는 이 판본이 유일하다.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영광 불갑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은 수조각승 무염을 비롯해 정현, 해심 등의 조각승들이 1654년(조선 효종 5) 완성해 불갑사 명부전에 봉안한 것이다. 발원문을 통해 지장보살, 무독귀왕, 도명존자, 시왕상 등 총 27구의 존상이 제작되었음이 확인되는데 제작 당시의 완전한 형태 그대로 전해져 조선 후기 불교 신앙과 조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또한 수조각승 무염의 작풍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해심의 독자적인 양식적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무염 및 그의 유파 형성과 전승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해남 은적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둥글고 양감 있는 얼굴, 사실적인 인체 비례, 추켜세운 오른손 검지를 왼손으로 감싸 쥔 지권인의 양식 등 신라 9세기대의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불상은 금동불에서 철불로 전환되는 시점에 제작된 비교적 이른 시기의 철불상으로 판단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통상, 철불은 분할주조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주조흔적이 발생하는데, 이 불상은 이러한 주조흔적을 최소한으로 나타내고자 수직으로 내려오는 옷깃을 따라 틀을 이어 붙이는 등 여러 측면에서 기술적인 고려가 세심하게 이뤄진 것으로 추측된다.

역사적 고난을 겪어 오는 과정에서 무릎 부분이 결손 되었으나 무릎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큰 결함이나 결손 없이 온전히 남아 있다. 현존 부분만으로도 신라 말 고려 초의 조형성과 예술성을 갖춘 우수한 불상으로 평가된다.

국가유산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적극 행정의 자세로 협조해 이번에 보물로 지정한 4건을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