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개 독립운동가 선양 단체로 구성된 항일독립선열선양단체연합도 이런 움직임에 동참하기로 했다. 정치권에서도 조국혁신당도 정부 광복절 기념식 불참을 선언했고 더불어민주당도 불참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과 광복회 간 대립은 신임 독립기념관장에 김형석 고신대 석좌교수가 임명되면서 격화했다. 광복회는 ‘광복은 1945년 8월 15일이 아니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년 8월 15일이다’, ‘일제강점기엔 나라가 없었기 때문에 당시 국민은 일본 국적이었다’는 김 관장 발언을 들어 그가 뉴라이트 인사라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억울하게 친일 인사로 매도되는 분이 있어선 안 되는 만큼 앞으로 학계에서 진지하게 토론하고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고 문제를 제기할 것”이란 취임 일성도 논란이 됐다.
김 관장은 자신은 뉴라이트 인사가 아니라고 항변했다. 건국 기점 논란엔 “나는 대한민국의 건국은 1919년부터 시작해 1948년 8월에 완성이 됐다고 주장한다”고 했다. 국적 발언에 관해선 “국적을 되찾기 위해 독립운동을 한 것 아니냐고 답변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윤석열 정부와 광복회 사이의 갈등은 지난해 육군사관학교가 홍범도 장군의 공산주의 활동을 이유로 교내에 있던 홍 장군 동상을 독립기념관으로 옮기려고 시도하면서부터 깊어지기 시작했다. 식민지 근대화론을 활발히 연구한 낙성대경제연구소 출신 박이택 소장과 김낙년 이사장이 최근 각각 독립기념관 이사와 한국학중앙연구원장에 임명되면서 양측 갈등은 더욱 심화했다. 이 가운데 이 원장은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며 반일주의를 공격한 책 ‘반일 종족주의’의 공저자다.
광복회가 이 같은 인사를 두고 정부가 ‘1948년 건국론’을 밀어붙이는 것 아니냐고 의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회장은 “독립기념관장을 포함한 국책기관의 일련의 인사사태는 이 정부가 1948년 건국절을 하자는 것”이라며 “나는 청와대(대통령실) 근방 대통령 주변의 밀정들이 이 연극을 꾸민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 회장 등이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하도록 계속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회장의 건국절 주장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