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고서에 따르면 민사재판의 처리 기간이 크게 늘어났다. 1심의 경우 2014년 4.3개월이던 평균 처리 기간이 2022년에는 5.8개월로 증가했으며, 항소심은 같은 기간 7.9개월에서 10.9개월로 늘어났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1년을 넘긴 미제 재판 건수의 급증이다. 1심의 경우 2014년 2만1651건에서 2022년 5만3000여건으로, 항소심은 3588건에서 9225건으로 각각 2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사법부 예산은 소폭 늘었지만 국가 예산 대비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대법원 예산은 2014년 1조4802억원에서 2023년 2조887억원으로 약 70%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국가 예산 대비 사법부 예산 비중은 0.42%에서 0.33%로 줄었다. 더욱이 예산의 소폭 증가에도 불구하고 인건비 부담이 커져, 예산 대비 인건비 비중이 2018년 67%에서 2022년 70.6%로 증가했다.
사법부의 예산 계획은 기획재정부에 의해 번번이 막혀왔다. 최근 10년간 기재부는 사법부가 작성한 예산안에서 평균 7.4%를 삭감해 국회에 제출했다. 특히 주로 사법서비스 인력 보완, 사법행정서비스 개선, 사회적 약자 배려 및 국민 권익향상과 관련된 분야에서 예산이 집중적으로 삭감됐던 것으로 조사됐다. 법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대국민 사법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핵심 사업들의 예산이 제한되면서 사법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지체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이번 연구 결과는 사법부의 예산 편성 독립성 확보를 위한 입법활동 등 각종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이론적 역사적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법조계에서는 이번 연구를 토대로 사법부 예산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체적인 법률 개정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사법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법부 예산 편성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도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