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무위 국감을 앞두고 화두는 금융지주 회장들의 출석 여부다. 금감원은 20일 BNK경남은행에서 15년간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이 2009년 5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횡령사고를 저지른 금액이 조사 결과 2988억 원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8월초 금감원의 초기 검사에서 확인한 562억원의 다섯 배를 뛰어넘는 규모로 역대 금융권 횡령사고 중 규모가 가장 크다.
KB국민은행 직원들은 미공개 정보를 활용해 127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겼다 적발됐다. DGB대구은행은 고객 동의 없이 주식계좌 1000여개를 불법 개설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런 탓에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을 비롯해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김태오 DGB금융그룹 회장이 국감에 소환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변수는 있다. 금융지주 회장들이 매년 참석해 온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다.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우리금융지주 회장, 이석준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은 내달 9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IMF·WB 연차총회에 나란히 참석한다. IMF·WB 연차총회에는 금융지주 회장들이 매년 참석해왔다. IMF와 WB의 연차총회에는 각국 중앙은행 총재와 재정·개발 부처 장관, 의원, 민간기업 경영자, 시민사회 대표, 학자가 대규모로 참석한다.
이후 금융지주 회장들은 유럽·중동 현지에서 투자자 및 주주들을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11일 금융위, 17일 금감원 국감에 금융지주 회장들이 출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난해와 같은 상황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정무위는 지난해 은행권의 내부통제 책임을 묻기 위해 금융지주 회장들을 불렀지만, IMF 연차총회 등을 이유로 은행장들이 대참했다. 당시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행장들을 증인으로 불려나와 내부통제 사고를 사과하고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올해 정무위 국감은 내달 10일 국무조정실을 시작으로 11일 금융위원회, 13일 국가보훈부, 16일 공정거래위원회, 17일 금융감독원, 19일 국민권익위원회, 24일 예금보험공사·한국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 26일 비금융 종합감사, 27일 금융 종합감사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