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이데일리 이종일 기자] 인천시의회와 인천시, 문화재단이 문화예술분야 청년 활동가들과의 간담회에서 코로나19 대응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는 지난 8일 오후 7시 시의회 세미나실에서 ‘코로나19 문화예술 간담회’를 진행했다.
김성준 문화복지위원장이 사회를 맡고 문혜진 아이리아(아동공연기획사) 대표, 손동혁 인천문화재단 경영본부장이 각각 문화예술계의 어려움, 코로나19 지원사업에 대해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문화복지위 소속 조선희·이병래 시의원과 조민경 연수구의원, 조성민 남동구의원, 서상호 인천시 문화예술과장, 청년 예술가, 청년문화예술단체 디(D)쌀롱 회원 등 10여명이 함께했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참여인원을 최소화하고 띄어 앉기, 체온 검사, 마스크 착용 등 방역지침을 준수했다.
문혜진 대표는 “올해 코로나19가 확산되자 갑자기 인천의 민·관 공연장들이 폐쇄됐고 재개장 공지가 안되고 있다”며 “공연장이 문을 닫고 있으면 대관을 계약한 공연기획사는 손해가 커지고 배우, 가수 등은 활동을 중단한 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획사, 배우 등에게 모두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한다”며 “코로나가 터져도 영화관은 폐쇄하지 않는데 공연장은 가장 먼저 폐쇄한다. 외국은 좌석을 띄어 앉아 공연을 관람한다. 우리 공연장 대응도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문 대표는 “인천문화재단 등이 코로나19 문화예술 지원을 확대했지만 공모전의 경우 발표가 늦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며 “타 지역은 공모전 발표를 앞당겨 하고 계약금을 먼저 준다. 인천도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는 또 문화예술 강사들이 학교 등교수업 중단으로 활동이 제한되는 어려움 등을 설명했다.
손동혁 본부장은 “처음 겪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문화예술계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해왔다”며 “문화재단은 올해 코로나19 피해지원TF를 구성해 30억6000만원을 지원사업 예산으로 집행했다”고 밝혔다.
손 본부장은 “예술인 지원을 위해 기존 사업을 확대하고 창작공간 임대료 지원 등 신규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했다”며 “이달부터 등록 예술인에게 인천이(e)음 예술인카드를 발급해 추가 캐시백을 지급하고 내년 지원사업을 다각적으로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인천문화재단은 지난 8월 예술인 설문조사에서 요구된 무관중 공연장 지원, 예술인 심리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시행하며 코로나19 위기 극복의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재단은 인천시 관련 조례상 문화산업 육성에 관한 조항이 없어 민간 상업영역 지원에 제한이 있었다.
손 본부장은 “재단은 기존 예술창작 프로그램 지원에서 앞으로 종합적인 예술인 지원으로 전환할 것이다”며 “예술인 권익보호·복지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
발표 뒤 질의응답 때는 코로나19 대응과 문화예술 발전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청중석에 있던 송경진 이너프(복합문화공간업체) 대표는 “지역의 공공기관 공연장을 청년 예술인에게 무료·할인 대관 등의 방식으로 내줬으면 한다”며 “여러 공연장이 있지만 돈이 없는 청년 예술인에게는 벽이 높다. 이들에게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예술인들은 몸이 재산이다. 경제적으로 어렵다보니 병원에 가는 것도 부담이다”며 “예술인에 대한 의료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온라인사업 지원과 창작공간 지원 확대 등을 요구했다.
서상호 인천시 문화예술과장은 “공연장 폐쇄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지침을 따른 것이다”며 “시에서 중대본에 공연장 재개장을 건의하지만 수용이 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시 예산 편성에서 문화예술 온라인지원 사업비로 30억원을 요구했다”며 “정부 뉴딜사업도 확정되면 공모에 신청하고 문화예술 사업을 늘릴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서 과장은 “내년 예술인 복지사업을 적극 기획하고 있다”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인천 예술인 임대주택 신축 사업을 논의 중이다. 사업이 추진되면 청년 예술인에게 입주 우선권을 주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성준 위원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현장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게 됐다”며 “앞으로 청년 예술인의 의견을 인천시·재단 정책에 반영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또 “재단 관련 조례를 개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재단의 연구·정책을 강화하고 상업 부분 포함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앞으로 이런 간담회를 자주 열고 현장 중심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