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산업·물가·고용 회복세에도 국민 체감은 '부진'

서대웅 기자I 2024.03.17 12:00:37

실물경제 헤드라인-체감지표 엇박자

[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산업생산과 물가, 고용 등 실물경제 윤곽을 보여주는 ‘헤드라인’ 지표들이 체감지표와 엇갈린 경로를 보이고 있다. 부문별로 균형 있는 회복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부산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사진=연합뉴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산업 생산지수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석 달 연속으로 전월 대비 ‘플러스’를 기록했다. 생산이 석 달 이상 연속 증가한 것은 2021년 6월~2022년 1월 이후 24개월 만에 처음이다.

인플레이션은 3% 안팎에서 2%대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3.1% 상승하면서 1월(2.8%)보다 0.3%포인트 높아지기는 했지만, 4%선에 근접했던 지난해 9월(3.7%), 10월(3.8%)과 비교하면 상당폭 상승압력이 줄었다.

고용 시장도 큰 틀에서는 견조한 편이다. 15세 이상 취업자는 2월 2804만3000명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32만9000명 늘면서 두달째 30만명대 증가폭을 유지했다. 전체 고용률은 61.6%로 1982년 7월 월간 통계작성 이후 2월 기준 가장 높았고, 실업률은 3.2%로 2월 기준으로 역대 2번째로 낮았다.

그러나 온기는 아직 체감지표에 미치지 못했다. 장바구니 물가, 청년 및 대기업 일자리, 내수 경기 등 국민 실생활과 직결된 부문에서는 싸늘한 기류가 이어지고 있다. 당장은 과일을 중심으로 식료품 물가에 ‘비상등’이 켜졌다. 2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3.7% 상승했다. 신선과일(41.2%)을 중심으로 신선식품지수가 20.0% 치솟았다.

과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수입산 과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13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과일을 고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취업자 수가 30만명대 늘어나는 상황에서도 2월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6만1000명 줄었다. 16개월 연속 감소세다. 경제 허리 격인 40대 취업자도 6만2000명 감소해 20개월째 내리막길을 걸었다. 인구 고령화와 정부 직접일자리 사업 등으로 60대 이상 취업자가 29만7000명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내수는 움츠린 모습이다. 무엇보다 건설경기가 부진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내수를 한층 위축시키고 있다. 지난해 4분기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런 괴리의 배경으로 구조적 요인이 꼽힌다. 산업활동에서는 높은 반도체 의존도가 수출-내수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후방 산업 연관효과가 큰 자동차·조선업 등과 달리, 반도체는 성장과 고용 모두 파급효과가 적은 편이다. 반도체발 경기개선에는 착시효과가 클 수 있다는 뜻이다.

다른 주요국보다 비중이 큰 자영업자들이 주요 통계의 ‘사각지대’에 있는 점도 고려할 부분이다.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기지표, 자영업자들의 목소리가 크게 반영되는 체감경기에는 상당한 틈새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과일·채소류 불가 급등도 이상기온·기후변화에 따른 출하량 감소와 맞물려있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부 재정을 통한 할인 혜택으로 수요를 뒷받침하는 게 정책적 실효성이 있느냐는 지적도 나온다.

먹거리 물가 빨간불

- 석유값 하락에 10월 물가 1.3%, 두달째 1%대…정부 "김장철 채소값 관리"(종합) - 두 달째 1%대 물가…한은 "물가안정 기반 견고해지는 과정" - 물가 2달 연속 1%대 둔화…채소류는 2년 만에 최대폭 상승(상보)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