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업계에 따르면 택배노조는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시간과 장소 구애 없이 오늘부터 72시간 동안 CJ대한통운에 공식 대화를 제안한다”며 오는 17일 오후 1시까지를 그 기한으로 지목했다. 택배노조는 기한까지 대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18일 전 조합원 상경 차량시위를 예고하며 투쟁의 수위를 더욱 높여가는 모양새다.
하지만 사측은 “사회적 합의 이행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택배노조와 협의를 할 주체도 아니다”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택배노조가 정한 기한 내 실질적인 대화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 사회적 합의 이행 여부는 현재 국토교통부의 현장점검에서 판단할 부분인 데다 협의 주체 역시 택배기사들과 계약관계에 있는 각 택배대리점이라는 설명이다.
노사 간 대립이 이어지면서 중재 역할로 이목이 집중됐던 여당 역시 현재로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택배노조는 지난 6일 11명으로 시작한 단식투쟁을 지난 14일 100명으로 늘려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도 무기한 농성에 돌입하고 나섰지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노동위원회는 지난 10일 택배노조 총파업 현장을 찾은 이후 별다른 행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다음달 초 구정연휴 택배 성수기를 앞두고 택배난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총파업 초반 하루 40만개 택배가 배송에 차질을 빚었고 최근까지도 일부 지역 택배접수 중단과 비노조 및 직영 택배기사 투입 등 노력에도 하루 20만개가 여전히 배송에 차질을 빚고 있는 마당. 통상 구정연휴 택배 물량은 평시 대비 50%이상 급증하기 때문에 배송 차질을 빚는 택배 물량은 다시 늘어날 수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택배노조가 이번에 사측에 공식대화를 제안한 것은 일종의 ‘출구전략’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번 총파업에 두고 ‘명분’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함께 국민들과 자영업자들의 싸늘한 여론 또한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적절한 시점 총파업 철회를 염두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택배노조 내부에서도 이번 총파업 돌입 전후 명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총파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자 이에 반발한 비노조원들과 생계를 위해 복귀를 고심하는 노조원들도 적지않다는 전언이다. 실제로 택배노조는 지난해 8월 전북 익산에서 파업에 돌입했다가 3개월 여 만인 11월 29일 별다른 조건 없이 파업을 철회한 전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