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의 월가브리핑]네가 오르니 나도 오른다…'에브리싱 랠리' 지속 가능할까

김정남 기자I 2021.01.11 07:33:55

서로서로 가격 끌어올리는 '에브리싱 랠리'
이더리움 폭등세 보면 테슬라는 '애교 수준'
모두 다 돈 버는 날은 계속 이어질 수 있나
월가 인플레 논쟁 커져…'묻지마 매수' 경계
QE 속도조절 뉘앙스 줄까…파월의 입 주목

<미국 뉴욕 현지에서 월가의 핫한 시선을 전해드립니다. 월가브리핑이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투자의 맥을 짚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말 그대로 ‘에브리싱 랠리(everything rally)’입니다. 언젠가부터 ‘이래도 되는 걸까’ 하는 의구심들이 조금씩 나오지만, 자산시장의 상승 동력은 무섭습니다.

올해 첫 주, 그러니까 지난주 주요 자산들의 상승 폭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3만606.48에 새해 거래를 시작해 지난 8일(현지시간) 3만1097.97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5거래일간 1.61% 올랐네요. 첫거래일 주춤했다가 4거래일 연속 상승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3756.07→3824.68)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1만2888.28→1만3201.98)는 1.83%, 2.43% 각각 올랐네요.

요즘 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이 화제입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52.24달러까지 올랐습니다. 연초 배럴당 48.52달러에서 7.67% 급등한 겁니다. 브렌트유(51.80달러→55.99달러)와 두바이유(51.14달러→54.58달러)의 새해 상승 폭은 8.09%, 6.73%입니다. 시장은 50달러대 국제유가를 두고 너무 높지도 너무 낮지도 않은 ‘스위트 스폿(sweet spot)’이라고 여깁니다. 팬데믹 이후 한때 사상 초유의 마이너스(-) 유가까지 경험했는데, 어느새 균형에 가깝다는 50달러대까지 오른 겁니다. 제조업 경기의 나침반과 같다고 해서 ‘닥터 코퍼’로 불리는 구리의 경우 새해 들어 톤당 8000달러 벽을 깼습니다. 지난주 톤당 7741.5달러에서 8146.0달러까지, 5.23% 올랐습니다. 현재 구리 가격은 2013년 11월 이후 가장 높습니다. 구리 외에 알루미늄, 니켈, 납, 아연 등도 일제히 가치가 뛰고 있고요. 옥수수, 소맥 같은 곡물값 역시 상승 중입니다. 여기에 더해 가장 핫한 비트코인은 수직 상승하고 있지요.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값은 지난해 연말 개당 2만9026.97달러였는데, 8일 4만666.72달러까지 치솟았습니다. 상승률이 40.10%입니다. 상승률을 따지는 게 무의미할 정도의 폭등입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비트코인에 이은 2위 가상자산이 이더리움인데요. 그 가격은 새해 들어 65.58%(738.90달러→1223.44달러) 올랐습니다. 심지어 미국 내 부동산 가치도 큰 폭 뛰고 있습니다.

최근 10년 구리 가격 추이. (출처=런던금속거래소 제공)
◇모두가 함께 오르는 ‘에브리싱 랠리’

기자는 최근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에브리싱 랠리 보도를 흥미롭게 봤습니다. WSJ는 “투자자들은 백신 출시로 코로나19 사태가 끝나고 올해 하반기 세계 경제가 회복할 것이라고 기대하며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며 “에브리싱 랠리를 지속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했는데요. 강한 상승장의 이유가 여럿 있겠지만, 에브리싱이야 말로 그 핵심 키워드가 아닌가 싶습니다. 지난주 테슬라 주가가 24.71% 올랐습니다. 정규장 주당 705.67달러에 거래를 시작해 8일 880.02달러에 마감했는데요. 5거래일간 200달러 가까이 오른 건 아찔한 상승률이지요. 그런데 바로 옆을 보면, 다시 말해 똑같은 돈을 갖고 투자할 수 있는 다른 자산들을 보면, 비트코인은 40% 이상 올랐고요. 이더리움은 70% 가까이 치솟았습니다. 일주일 만에 5% 넘게 뛴 구리는 오른 것 같지 않아 보일 정도입니다. 서울 아파트값의 키 맞추기와 비유하면 너무 과한 걸까요. 실체 여부가 불분명하다는 비트코인 가치가 이렇게 뛰는데, 혁신의 아이콘이라는 테슬라 주가가 이 정도 오르는 게 뭐가 이상하냐는 게 월가의 분위기입니다. 전형적인 대세 상승장의 모습이지요.

지금 초강세장의 미래를 예측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런 장은 ‘돈의 힘’으로 설명 가능한 통계들이 많다는 진단은 할 수 있습니다. 지난주 <월가브리핑>에 이어 근래 월가의 최대 화두인 인플레이션 얘기를 다시 꺼낼 수밖에 없을 것 같네요.

미국의 시중 유동성은 단연 사상 최대입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돈 풀기에 M1, M2 같은 지표가 모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최근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가 90 아래까지 내려간 건 이 때문입니다. 달러화를 많이 푸니 달러화 가치가 떨어지는 건 당연하지요. 넘쳐나는 달러화가 주식은 물론이고 부동산, 원자재, 비트코인 등의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고요. 여기에 더해 달러화는 기축통화의 특성을 살려 조금이라도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해외로 나가고 있습니다. 국제금융센터가 블룸버그를 인용해 한국을 포함해 인도, 대만,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주요 8개국의 외국인 주식 투자 규모를 보니, 최근 8주 누적 179억4000만달러 순유입을 기록했습니다. 미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증시가 함께 웃고 있는 건 이런 영향에서입니다. WSJ는 여러 전문가들의 말을 빌어 “최근 신흥시장으로 투자자금이 이동하고 있는 게 포착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언제까지나 이런 상황이 이어지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런데 문제는 과거 이랬던 때는 언제나 인플레이션 부메랑이 날아왔다는 점입니다.

◇인플레이션 논쟁에 민감해진 월가

월가는 인플레이션 논쟁에 매우 민감해졌습니다. 시장의 10년 후 인플레이션 기대를 나타내는 미국 10년물 기대인플레이션율(BEI·Breakeven Inflation Rate)은 1.99%에서 2.06%로 새해 다시 올랐습니다. 기대인플레이션만 보면 이미 통화정책 목표치(2.00%)를 넘었습니다. 글로벌 장기시장금리 벤치마크인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바이든 시대의 천문학적인 재정 지출 관측까지 더해져 어느새 1.12%까지 올라왔습니다. 아직까지는 경제 회복과 증시 상승을 정당화할 ‘건강한 레벨’이라는 시각이 많은데요. 그러나 추후 기대인플레이션보다 명목금리(국채 10년물 금리) 상승 속도가 더 빨라질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이 늘고 있고요. 이러면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금리는 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자산시장 강세를 견인하는 돈의 힘이 약해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실질금리를 나타내는 10년 만기 물가연동국채(TIPS) 금리는 지난해 말 -1.06%였는데, 현재 -1.01%로 상승했습니다. 기업 혹은 개인이 돈을 빌리는데 드는 실질적인 이자 부담이 아직 큰 폭의 마이너스(-)이긴 한데요. 만에 하나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단기에 1.7~1.8% 레벨까지 빠르게 오른다면, 시장 분위기는 어떻게 달라질지 모릅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금융시장의 이런 상황을 아는지 모르는지, 수조달러 규모의 부양책을 또 발표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동안 돈 풀기 신호만 줬던 정책당국의 시각 역시 미묘한 변화가 감지됩니다. 재정 쪽은 바이든 당선인의 공약이 있으니 초완화적일 게 분명하지만, 그럴수록 더 주목 받는 곳은 통화 쪽입니다. 인플레이션이 감지되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곳이 연준이지요.

기자는 지난주 열린 세계 최대 경제학계 행사인 전미경제학회(AEA) 연례 총회에서 세계적인 석학들 못지않게 당국자들의 발언을 주의 깊게 들었습니다. 예상대로 ‘지금의 완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중립적인 뉘앙스의 발언들이 많았습니다.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평균 2%의 인플레이션 목표에 도달하려면 수년이 걸릴 것”이라며 “오랜 기간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에반스 총재는 올해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투표권을 갖게 돼 통화정책에 직접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인사입니다. 리처드 클라리다 연준 부의장은 최근 외교협회 강연에서 “단기간 내 채권 매입(양적완화) 프로그램을 조정할 필요성은 보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연준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에 대해서는 “꽤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고요. 반대로 채권 매입 규모를 늘리거나 평균 만기를 장기화하는 시장의 일각의 양적완화 확대 기대에 대해서도 “경기 하방 위험이 감소했다”는 말로 선을 그었습니다. 시장 예상보다는 다소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이었다는 평가마저 나왔습니다.

주목할 건 돈을 거둬들일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는 뉘앙스의 발언들이 늘고 있는 점입니다. “인플레이션이 많은 이들의 예상보다 더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올해 말 혹은 내년 초 채권 매입 프로그램의 축소 가능성이 있다”(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 등의 지난주 발언들이 대표적입니다. 아직 속단은 이릅니다. 각 지역의 이해관계가 우선인 연은 총재의 발언 하나하나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성도 크지 않고요. 그럼에도 시장에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인플레이션 논쟁에 당국이 조금씩 시선을 보내는 분위기까지 ‘아니다’라고 말하기는 어렵게 됐습니다. 어쩌면 이런 논쟁 자체로 이미 시장은 ‘묻지마 매수’를 서서히 경계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최근 5년 미국 시중 광의통화(M2 머니 스톡) 규모 추이. (출처=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제공)
최근 5년 비트코인 가격 추이. (출처=코인베이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제공)


◇파월, QE 속도조절 뉘앙스 내비칠까

그 연장선상에서 이번주 관심이 모아지는 건 연준의 행보입니다. 바이든 정권의 경제정책이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상황에서, 미국 경제를 중장기 시계에서 이끌고 가는 연준은 그 속도조절 뉘앙스를 내비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준은 오는 13일 경기동향 보고서인 베이지북을 공개합니다. 베이지북은 FOMC 정례 회의 기초자료로 쓰입니다. 같은날 클라리다 부의장은 또 연설을 합니다. 이튿날인 14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한 대담에 나섭니다. 파월 의장은 팬데믹 이후 연준의 역대급 돈 풀기의 선봉장이었는데요. 그의 초완화적인 비둘기파 스탠스에 변화가 있을지 월가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만에 하나 파월 의장이 다소 매파적인 언급을 한다면 시장금리가 오름 폭은 가팔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뜩이나 바이든 당선인이 이번주 수조달러 규모의 부양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공언했고요. 일주일에 수십명씩 쏟아지는 실직자를 구제하려면 결국 인프라 사업을 일으킬 것이라는 기대 역시 커지고 있는데, 이 역시 국채금리 상승 재료입니다. 그간 소외 받았던 인프라주 등 증시 내 종목별로 옥석 가리기 여지는 있겠지만, 증시 전반의 초강세장은 균열이 갈 수 있는 재료입니다.

이번주 JP모건체이스, 씨티그룹, 웰스파고, 블랙록 등 주요 금융사들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이 나옵니다. 기업 실적은 주가의 중요한 기준 중 하나입니다. 최근 증시 초강세장을 얼마나 떠받쳐줄 수 있을지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출처=연합뉴스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